설립근거
1992.12
한국환경기술개발원(재단법인)설립
1997.09
"환경영향평가법" 개정에 따라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으로 개편
1999.01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정에 따라 국무총리실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전환
설립목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환경과 관련된 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제고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
- 임무
-
- 환경과 관련된 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
-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제고
- 환경과 관련된 정책 및
- 기능 및 역할
-
- 환경정책과 관리 기법의 연구개발, 환경관리 계획의 수립 및 환경정책 운영성과의 평가
- 환경 기술 개발 및 청정 생산체제확산을 위한 연구개발
- 자연생태계 보전ㆍ복원 및 환경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 및 기법 개발
- 환경영향평가서의 전문적 검토 및 평가기법의 개발, 보급
- 환경영향재평가실시 및 환경성 검토
- 환경정보의 제공과 환경정책 교육 훈련 홍보 및 환경 전문 인력육성
- 국가 특정연구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 평가 및 조정
KEI 목표
경영비전
국민체감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KEI
기관 설립목적
환경과 관련된 정책ㆍ기술의 연구개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ㆍ공정성 제고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
경영목표 및
추진전략
01지속가능발전 가치를 실현하는
환경정책 연구 선도
환경정책 연구 선도
- 국민체감 환경현안 정책연구 강화
- 지속가능 환경ㆍ사회 체계 구축
- 미래지향적 환경정책 개발
02미래대응 환경평가
체계구축
체계구축
- 데이터 기반 환경영향평가 시스템 고도화
- 소통ㆍ참여형 환경영향평가 체계 구축
03열린연구 및 글로벌
지식협력확대
지식협력확대
- 열린연구 및 성과확산 플랫폼 구축
- 국제협력 연구 네트워크 확충
04존중하고 배려하는
연구공동체 조성
연구공동체 조성
- 소통하는 성숙한 조직문화 정착
- 함께 성장하는 연구공동체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