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단 및 센터

KEI 융복합환경연구단(CTG) 및 센터

KEI에서는 미래 환경정책 이슈 관련 연구활동을 수행해나가는 융복합환경연구단(CTG : Cross-cutting Thematic Group)과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간 아이디어 교환 및 자유토론 등을 통하여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KEI의 연구단과 센터를 소개합니다.

  • 중국환경연구단 중국환경연구 국내외 허브기관으로의 발전기반 구축
    • 중국 환경 연구 총괄 및 동북아 및 유라시아 연구 선도
    • 정부 부처 및 관련기관·기업에 대한 정책자문 및 정보제공
    • 중국 사업의 대외창구 담당 및 환경관련 네트워크·전문가 풀 구축
  • 해양환경오염연구단 해양환경보전 및 해양오염방제 분야의 통합적 문제 해결방안 제시
    • 해양환경 및 해양방제 관련 포럼의 정기적 운영, 관련 학회와의 기획세션 개최를 통한 협력관계 유지 및 정책과제 발굴
    • ODA 사업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 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 민간기관 전문가들에게 우리나라의 해양환경보전 및 해양오염방제 경험 전수 및 선진기술 교육 프로젝트 실시
    • 해양환경 및 해양오염방제 관련 해외 기관과의 국제 공동연구 추진
  • 환경가치연구단 정부 정책결정자가 활용 가능한 환경가치 정보 및 통합평가 틀 구축·제공
    • 환경영향의 정량화와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기반구축
    • 생태계 가치추정, 건강영향 단위가치 추정, 대기환경 건강영향평가, 화학물질 건강영향 가치추정 등 연구를 통한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개선 및 환경가치 통합 DB 시범구축
  • 지역환경현황분석연구단 국토의 개발 현황 분석 및 향후 개발 가능성 평가
    • 개발사업 전후의 환경변화 등 개발 예정지에 대한 시공간적 환경변화 및 환경수용능력 분석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환경평가를 시행하고, 관련 기초자료 제공을 통해 지속가능한 국토개발 유도 및 사회적 갈등 예방
    • 국정기조에 부합하는 정책 계획 및 개발기본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 제시 및 관련 분석 자료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학제적 연구
  • 환경빅데이터연구단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환경연구 적용
    • 장기적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환경연구에 적용
    •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 및 알고리듬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 대내외 연구인력을 신축적으로 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는 환경연구의 허브역할 수행
  • 기후변화리스크연구단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해결방안 마련
    • 기후변화리스크 관련 융복합 연구 추진을 통한 기후변화리스크 대응 연구 선도
    • 기후변화 관련 고유과제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 간 시너지 효과의 창출을 위해 연계 포럼 운영
    • 기후변화리스크 관련 해외 기관과의 국제 공동연구 추진
    2020 폭염영향 보고서 2021 한파영향 보고서
  • 스마트 지속가능도시연구단 지속가능도시 정책방향 정립 및 국가차원의 정책적 수요 대응 등 현장중심 도시연구 선도
    • 도시 지속가능성 평가 및 경로설계, 스마트 그리드 설계, 스마트 축소, 포용도시, 스마트 지속가능도시 관련 DB 및 정보, 법·제도 등 기반 구축
    •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 대상 스마트 지속가능도시 관련 정책 수립에 관한 자문 수행, 제4차 산업혁명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등 정책자문
    • 원내 스마트 지속가능도시 대외 창구 담당,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 미세먼지연구단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합리적 정책방향 정립 및 국가차원의 정책적 수요 대응 등 복합적 환경문제 연구 선도
    • 미세먼지 사각지대에 대한 정보 종합,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책도구 개발 및 정부 정책 다면적 평가에 따른 정책 우선순위 도출, 위해성 기반의 정책 개발 수행 등
    •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 대상 미세먼지 관련 정책 수립 자문 수행, 법 기반 미세먼지 특별 위원회 및 국가기후환경회의 지원 정책자문 수행
    • 원내 미세먼지 정책관련 대외 창구 담당,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KEI 연구성과 및 우리나라 미세먼지 정책 소통 및 전파
  • 환경정책 Data Science 전환 연구단 국가차원의 정책적 수요 대응 및 데이터 기반 환경정책연구 선도
    • 데이터 기반 환경정책 지원을 위한 요소 데이터 조사 및 연계, KEI 데이터 기반 연구를 위한 DMP 적용 등 제도 개선
    •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 대상 환경정보 처리, 분석 관련 정책 수립에 관한 자문 수행 및 관련 과제 수행
    • 원내 데이터 기반 환경정책 수립 연구 대외 창구 담당,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 북한환경정보센터 북한 지역 환경보전 및 한반도 지속가능발전 기여
    • 북한 환경상태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의 수집, 분석 및 제공,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운영, 관련 연구 및 사업 발굴, 정책 제언
    • 북한 환경 및 남북 환경협력에 관한 대표 연구기관으로서 허브 역할 수행
  • 환경보건센터 빅데이터 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환경취약 집단 환경보건정책 마련 기여
    • 환경보건 이슈 및 환경부정의 진단·평가를 위한 환경보건 통합정보 구축
    • 환경과 건강문제의 다차원적 분석·평가를 통한 환경보건 이슈 파악 및 선제적 대응 위한 통합정보 기반 건강영향 예측 및 모델 개발
    • 환경정의 진단을 통한 환경 취약지역·인구집단 맞춤형 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실효적 토대 제공
  • 순환경제 연구단 순환경제 전환 촉진을 위한 이행전략 도출
    • KEI 순환경제 연구사업 발굴 및 수행 등을 통한 정책자문 및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 확산 등
    • 중장기 연구개발 등을 통한 국가 순환경제 정책화 견인
  • 환경갈등연구단 지속가능사회 구현을 위한 사회적 책임에 기여
    • 개발사업 및 환경정책의 숙의형 참여 기법, 사회영향평가/갈등조정/협상기법 연구 및 실천
    • 지자체, 기업, 지역주민을 위한 컨설팅 및 교육
  • 지하수연구단 지하수 관련 다양한 환경문제의 체계적 연구 선도
    • 연구기반 토대 정책자문과 네트워크 구축 및 연구성과 확산 등 정책화 및 연구활성화로 발전하는 선순환관계 구축
    • 국가 및 지역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에 기여
  • 국가지속가능성연구단 국제적 지속가능발전 추진에 대응하는 연구 및 협력 기반 구축
    • 국가지속가능성 관리 체계 강화에 따른 연구방법론 개발, 중장기 연구사업 발굴
    • KEI 지속가능성평가 관련 대외창구 역할 및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관계 구축 및 원내 연구성과 전파
  • 환경교육연구단 중장기적 비전과 체계적 교육 전략 발굴을 통한 환경정책교육원의 교육 역량 제고
    • 온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하는 환경교육 조직으로서 교육원 위상 강화
    • 다양한 교육 수요 확인 및 신사업 발굴
    • 글로벌 환경교육을 위한 기반 마련 및 체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