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후변화·대기
지권과 생물권간 공진화 현상에 기반한 국토 자연환경 관리방안(I)
이 표에서는 연구기간,과제구분,연구분야,연구책임자,참여연구원,저자발간물등의 내용을 제공합니다.
연구기간 2017-01-01 ~ 2017-12-31 과제구분 기본과제
연구분야 연구책임자 이수재
참여연구원 이수재 , 사공희 , 이명진 , 이현우 , 김윤정 , 조선주
내용 <제1차년도>
○ 공진화 이론의 고찰
- 각 분야별 공진화 이론의 적용 현황 조사 및 특성 분석.
※ 공진화 이론은 다윈(Darwin)이 처음 제안한 것으로, 당초 생물간 공진화 현상을 말하지만, 이후 기계와 인간간 공진화 모형 등이 제안되면서 무생물의 변화를 진화처럼 간주하여, 이들간 상호작용을 다루면서 확장된 개념임. 본 연구는 무생물-생물간 공진화 현상 혹은 상호작용의 특성에 중점을 둔 것임.

○ 지권-생물권간 공진화 관계의 이론적 배경 및 사례 고찰
- 공진화 이론을 적용한 생물-무생물간 연구 사례 조사 및 분석
- 광물 진화와 생물간 상호 작용의 사례 조사 분석
※ 지구의 광물 종은 지구생성 초기 300여종 미만이었으나, 현재 4,400여종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 중 2/3는 적어도 생물 출현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Hazen and Ferry(2010) Mineral Evolution: Mineralogy in the fourth dimension. Elements. Vol. 9, p. 9-12.).
※ 근지표 환경에서 미생물-광물간 반응으로 지구의 변화 및 생물상의 변화에 대한 것은 관련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으며, 이것이 자연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파악되는 단계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근지표 환경의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음. 근지표 환경은 전형적인 물-토양, 암석-생물 간의 공진화 현장으로 볼 수 있음.

- 공진화 관계의 세분화 혹은 유형화 가능성을 모색
※공진화 관계는 지형-식생 분포, 지질-식물 분포, 수환경 특성-생물다양성, 습지면적-종풍부도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연구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경우 자연환경 관리 적용시 활용방안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

○ 공진화 이론을 적용한 국내 사례지 조사 및 분석
- 지형, 지질, 수계, 대기 등 무기환경과 식생, 동물 간 상호관련 모식지 선정 가능성 여부 검토 및 존재시 현장 조사 및 분석
※ 모식지가 발견되면 보호대상으로 지정 혹은 융합 연구 대상지로 활용할 수 있음


<제2차년도>
○ 공진화 기반 전국 자연환경 특성 지역 구획화 방안 및 활용방안
- 영국의 “국가 특성지역(National Character Area)” 분구 및 특성 조사 및 국내 적용 방안
- 국가특성지역의 정책적 활용방안의 모색
·전국자연환경조사, 생태자연도 등과의 차별적 활용방안 마련

○ 공진화 기반 국토자연 관리 방향 마련
- 기후변화, 인간 간섭, 지중환경 이용 등을 고려한 자연환경 관리 방향 설정

○ 공진화 기반 자연환경 관리시 정책적 고려사항
- 관련 법제도 제개정 방안
- 환경영향평가, 기후적응, 국토-환경 연동제 등에 활용방안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