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후변화·대기
물이용 지속성의 평가와 미래 전망
이 표에서는 연구기간,과제구분,연구분야,연구책임자,참여연구원,저자발간물등의 내용을 제공합니다.
연구기간 2016-01-01 ~ 2016-12-31 과제구분 일반사업
연구분야 연구책임자 김익재
참여연구원 김익재 , 이진희 , 공인혜 , 정선희
내용 □ 국내외 물이용 지속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 및 정책 동향 분석
○ 국내 물부족 대응 관련 선행연구와 최근 정부대책(환경부, 국토부, 농림부, 주요 지방정부 등)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 정책측면의 시사점 분석
○ 국내외 주요 기관의 기후변화/사회환경 및 미래전망을 고려한 물이용 평가 사례 조사
○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 변화에 따른 선진국의 물이용 적응정책 및 사례 조사
○ 국내외 주요 기관(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GCF, 한국수출입은행, KOICA, JICA 등)의 물이용 관련 개도국 주요 투자 및 지원 계획 조사

□ 전국 물이용 지속성 평가 및 미래전망 관련 자료 구축 및 방법론 개발
○ 물이용 지속성 평가는 크게 2개 부문, (1)기후 및 인프라 (2)수질환경 및 물 서비스 운영으로 구분하여 상세 분석 실시
○ 물이용 지속성 평가(부문1) : 기후 및 인프라
- 물이용 지속성의 3대 주제(기후, 물 가용성, 물이용)에 기반하여 세부 부문으로 구분하고 연과지표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물이용 지속성을 분석·평가
○ 물이용 지속성 평가(부문2) : 수질환경 및 물 서비스
- 부문 2는 3대 주제(물환경, 정책운영, 시설운영)에 기반하여 수질현황, 물이용 정책과 물 서비스 운영과 관련된 부문을 세부화하고 연관지표와 평가지표를 개발함
○ 부문1과 부문2의 중첩 분석으로 물이용 지속성의 통합 평가
○ 물이용 지속성 평가와 미래전망 분석에 따른 현행 정책 개선점 도출과 기후 적응 측면의 정책 프레임워크 제시
- 부문1의 미래 전망은 기후정보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 자료 구축이 가능한 지표(예: 강수량, 유출량, 인구 등)를 선별 평가(moderate average)하고 과거-현재 추세치-상관성 통계분석으로 극대(extreme high, extreme low) 시나리오의 영향을 추가로 평가
- 부문2의 미래 전망은 부문1의 시나리오 연계분석·복합평가를 실시하고, 과거-현재 상관성이 높은 지표를 선별하여 시나리오 구축 후 평가 실시
□ 개도국 물이용 평가를 위한 검토와 시범적용
○ 개도국의 자료수집 및 물이용 시범평가
- 개도국 시범연구를 위한 지표체계의 검토
- 개도국 물이용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시범적용: LANDSCAN (인구), FAO AQUASTAT (농업용수, 수질정보), UN Water KWIP (Key Water Indicator Portal) (하천·호소 수질정보), 물이용 관련 시설 현황, 유출량, 물이용량, 상하수도 보급률, 수도요금 등 지역자료 수집·분석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