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지속가능성보고 및 ESG 정보공개 확대 추세, 공공부문의 역할은?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시2023-02-24 14:49
- 조회수4411
기업의 지속가능성보고 및 ESG 정보공개 확대 추세 공공부문의 역할은?
원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금융 부문의 역할을 강조하는 '지속가능금융'이 2006년, 유엔 책임투자원칙 채택을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
유엔 책임투자원칙이 'ESG 이슈를 투자 분석 및 의사결정과정에 반영하는 것’을 그 첫 번째 원칙으로 삼으면서 E-S-G 세 요인이 책임투자는 물론 지속가능금융의 핵심 주제로 자리 잡은 것!
여기서 잠깐!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대표하는 세 주제인 ENVIRONMENTAL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구조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금융 부문 정보 수요가 늘어나자
- 기업 ESG평가 시장의 빠른 성장
- ESG 성과 자료의 핵심 출처인 기업 지속가능성보고에 대한 시장 압력 증가
이러한 추세 속에서 공공부문은
-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모범적 역할 수행
-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기여 수준과 ESG 요인 관리 성과 정보 공개
- 민간의 지속가능성 보고와 ESG 정보공개 지원
- 지속가능성보고와 ESG 정보공개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정합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
- 기업 지속가능성보고의 방향과 지속가능금융 영향 관리의 지침이 될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관련 정책·제도 정비(IFRS(국제회계기준) 국제 기준 연계 및 주요 국가 지속가능성보고 의무화 대응)
- 지속가능발전 기본법」(2022년 제정)에 따라 수립해야 하는 국가·지방의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에 지속가능금융과 지속가능성보고, ESG 정보공개 촉진·지원 방안 반영
- 민간의 지속가능성보고와 ESG 정보공개를 촉진하기 위해 공공부문(정부, 공공기관)이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고 이용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관련 자료·정보의 투명성·신뢰도 제고 지원
- IFRS 지속가능성 정보공개 기준 국내 도입과 2025년 이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공시 단계적 의무화를 대비한 국내 기반 마련 시급(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기회 평가를위한 자료 및 분석 기법 등)
- 국가 지속가능발전에 정합적인 조직 경영, 재정 집행 등을 검토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지속가능성보고 방식'과 '공공기관 ESG 보고체계’ 개발 필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