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수시연구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외래생물 관리체계 개선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제2장 외래생물 유입·피해 현황 및 전망
1. 외래생물 유입 현황 분석
2. 외래생물 유입 영향 분석
3. 외래생물 유입 피해 분석
4. 종합 분석

제3장 외래생물 관리 현안 분석
1. 대외 외래생물 현안 및 여건 분석
2. 대내 외래생물 현안 및 여건 분석
3. 종합 분석

제4장 외래생물 관리체계 분석
1. 외래생물 관리 법·제도 분석
2. 외래생물 관리 정책 분석
3. 외래생물 관리 사업 분석
4. 외래생물 관리 정보·기술 분석
5. 외래생물 관리 예산 분석
6. 종합 분석

제5장 외래생물 선진 관리체계 고찰
1. 미국
2. 영국
3. 일본
4. 호주
5. 종합 고찰

제6장 외래생물 관리 개선체계 마련
1. 외래생물 관리 개선 방향 설정
2. 외래생물 관리 단기 개선 방안 도출
3. 외래생물 관리 중장기 개선 방안 도출
4. 종합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외래생물 관리 정책 개선을 위한 전문가 포럼 회의록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ㅇ o제2차 외래생물 관리계획(2019-2023)o 이행 및 o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관리)o의 수립을 지원하고자,
ㅇ ① 외래생물 유입·피해 현황 분석 및 전망, ② 대내·외 외래생물 관리 현안 및 여건 분석, ③ 선진 외래생물 관리체계 고찰 및 시사점 도출, ④ 기존 외래생물 관리체계 고찰 및 한계 분석 과정을 거쳐 ⑤ 외래생물 관리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

Ⅱ. 외래생물 유입·피해 현황 및 전망
ㅇ 2020년 기준 외래생물은 2,167종으로(2009년 대비 142% 증가), 우수한 성장·번식·이동·적응·생존력으로 전국에 확산 중이며, 고지대 및 도서까지 서식 범위를 확장
ㅇ 외래생물의 고유 특성·습성·활동은 환경·생태(먹이·공간 경쟁, 생육·생장 저해, 생태계교란, 생물다양성 감소), 경제·사회(생산물 외관·숙성·결실 저해, 병충해 감염, 수로·둑·제방 파괴), 건강·보건(질병·질환, 호흡·의식장애, 사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ㅇ 언론 보도(2018~2022년) 분석 결과, 국가와 지역사회는 다양한 외래생물로 시공간에 관계없이 환경·생태, 경제·사회, 건강·보건이 복합된 형태로 피해를 받고 있음
ㅇ 엔데믹 체제 전환에 따른 국제 교역 재개, 농업·관상·애완용 외래생물 수요 증가,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 등으로 외래생물 유입·확산·피해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

Ⅲ. 외래생물 관리 현안 분석
ㅇ 외래생물은 생물 멸종 및 생물다양성 훼손의 주요 요인으로, 외래생물의 유입·정착·확산 및 토착종 대체, 생태계 변화 등 외래생물 영향을 관측
ㅇ 기후변화 등으로 외래생물 유입 기회 및 정착·확산 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서식지 회복력은 감소하여 생물안전은 물론 식량 안보, 인류 건강까지 위협받을 것으로 전망
ㅇ UN, CBD, IUCN, UNFCCC는 생태계, 생물다양성은 물론 지속가능발전, 기후변화, 탄소중립 등 국가 정책·예산 내 외래생물 관리 통합·반영을 권고 중이며, 이에 따라 외래생물 관리 정책 수립국 및 예산 확보국이 증가
ㅇ 국내 역시 국가 계획·전략에 외래생물 관리를 통합·반영하여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나, o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o 개정(2018년 10월)으로 외래생물 관리계획 수립 조항이 삭제되면서 외래생물 관리는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한 부문으로서 이행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외래생물 관리 범위 축소 및 실행력 약화 우려
ㅇ 언론 보도(2013~2022년) 분석 결과, 애완용, 불법수입, 세관, 위해성, 유입주의, 기후변화 등이 외래생물 연관어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어 대내외 현안 및 여건을 고려한 외래생물 관리체계 개선 필요

Ⅳ. 외래생물 관리체계 분석
ㅇ 외래생물 관리를 위해 o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o 등 다양한 법률에 의거하여 국가계획·전략 수립, 위해성 평가, 규제 대상 지정·해제·관리, 수입·반입, 검역, 방제 등을 시행
ㅇ 외래생물 관리 패러다임은 유입 후 제거에서 유입 전 관리로 전환 중이며, 외래생물 관리를 위하여 미유입 위해 의심종의 사전 관리 강화, 국내 유입 외래생물의 위험 관리 강화, 외래생물 분포 및 서식실태 조사,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전주기 기술 개발, 퇴치사업 등을 추진 중
ㅇ 그러나 정부는 외래생물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