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수탁보고서 지하수 유역관리 기반 마련 연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 내용
2. 연구 추진 체계

제2장 통합 물관리와 연계한 지하수 정책방향 설정
제1절 수자원 및 지하수 현황
1. 수자원 현황
2. 지하수 현황
제2절 물관리 여건 분석
1. 미래사회 여건
2. 국내 물관리 여건
3. 국내 물관리에서의 지하수 역할
제3절 통합 물관리에 부합하는 지하수 정책 방향
1. 국내 물관리 정책 변화
2.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정책 기조
3. 국가물관리 기조에 부합하는 지하수 정책방향
4. 지하수 정책목표 및 부문별 추진전략

제3장 유역 내 지하수 평가·관리체계 마련
제1절 국내 지하수·지표수 평가ㆍ관리체계 분석
1.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현황
2. 지표수 평가·관리체계 현황
3. 지하수 평가·관리체계의 개선방향
제2절 해외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현황 및 시사점
1. EU의 지하수 평가 및 관리체계
2. 미국의 지하수 평가 및 관리체계
3. 국내 적용을 위한 시사점
제3절 유역단위 지하수 평가·관리체계(안)
1. 관련 선행연구
2. 유역단위 지하수 평가·관리체계(안)
제4절 지하수 평가체계(안)의 적용 - 금강권역
1. 금강권역 개요
2. 지하수 상태평가(수량, 수질)
3. 소결

제4장 지하수 관리 행정체계 개선방안
제1절 국내 지하수 관리 업무체계 분석
1. 지하수 관리 주요 업무 및 중앙-지방간 역할분담
2. 타 분야 중앙-지방간 업무분담 구조와의 비교
3. 지하수 관리 중앙-지방간 역할분담 구조의 고찰
제2절 지자체 지하수 행정 여건
제3절 통합 물관리 시대 지하수 관리 행정 이슈 및 과제
1.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행정체계 개선 방향
2. 지하수 관리 행정체계 개선을 위한 이슈별 추진과제

제5장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재정 분야 개선방안
제1절 국내 물관리(지표수, 지하수 등) 재정 현황
1. 국가(환경부) 물관리 재정구조
2. 물이용·관리를 위한 비용부담 구조
제2절 국내 지하수 관리를 위한 재정 현황 분석
1. 환경부 및 지방정부 재정구조 및 지하수 관련 예산
2. 지하수관리특별회계
3. 지하수 관련 비용 부과체계
4. 지하수 재정 관련 제도 평가
제3절 지속가능한 지하수 이용·관리를 위한 재정체계
1. 통합 물관리와 물관리 재정 이슈
2. 통합 물관리를 위한 지하수 재정 현안 및 추진과제

제6장 지하수 유역관리 기반 마련을 위한 법ㆍ제도 개선안
제1절 유역단위 지하수 평가ㆍ관리 기반 마련을 위한 법ㆍ제도 개선 방안
1. 유역 지하수 관리의 법적 기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타 법률과의 관계 정비 - 「지하수법」
2. 국가의 지하수 수질오염물질 농도 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지하수법」
3.유역단위 지하수 평가체계의 법조항 신설 o 「지하수법」,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지하수 관리목표기준 평가 규정」
4. 지하수 환경기준과 수질등급 관련 법률 개정(안) - 「환경정책기본법」&「지하수법」
5. 유역 지하수 관리 책무 강화 - 「지하수법」
제2절 유역 지하수 평가·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추진 로드맵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 1990년대 중반 이후 다원화된 물관리 업무체계에서는 부처별 업무간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종합적인 물관리 정책 수립 및 시행의 어려움, 유사 사업의 중복 추진, 예산 낭비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
○ 2018년 「물관리기본법」, 「정부조직법」,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등 ‘물관리 일원화 3법’이 제정 및 개정되면서 수량, 수질, 재해 관리 등 물관리 주체를 환경부로 일원화하여 추진하게 됨
○ 물관리 여건 변화에 따라 기존의 물관리 정책들을 「물관리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물관리 기본원칙인 물의 공공성, 물순환 관리, 생태환경 보전, 유역별 관리, 통합 물관리 등 관점에서 분석하여 국가 차원의 물관리 정책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 이에 국내 지하수 관리실태를 진단하고 물관리 일원화 등 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국가 물관리 기조에 부합하는 지하수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관리기반을 마련해야 함

2. 연구의 목적
○「물관리기본법」의 물관리 기본원칙에 따른 지하수 정책추진을 위해 유역 내 지하수 수량ㆍ수질을 평가 및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행정ㆍ재정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지하수의 유역단위 관리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 내용
가. 통합 물관리와 연계한 지하수 정책방향 설정 (제2장)
○ 국내 수자원 현황 및 지하수의 역할 분석을 통한 지하수 관리체계 및 문제점 분석
○ ‘물관리 일원화 3법’ 등 물관리 정책ㆍ제도 및 여건 분석
○ 통합 물관리 관점에서 물관리기본원칙을 고려한 지하수 정책의 방향ㆍ비전 제시
나. 유역 내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마련 (제3장, 제6장)
○ 해외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및 제도 비교ㆍ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통합 물관리를 고려한 유역단위 지하수 평가체계 및 관리방안 마련
○ 시범유역 선정을 통한 평가체계의 적용성 평가 및 검토
○ 유역 기반의 지하수 평가·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정안 제시
다. 지하수 관리 행정체계 개선방안 (제4장)
○ 국내 지하수 및 지표수의 중앙-지방정부 기능과 역할 비교ㆍ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통합 물관리를 위한 지하수 분야 중앙-지방정부 역할 및 행정체계 등 개선방안 제시
라.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재정 분야 개선방안 (제5장)
○ 국내 지하수 및 지표수의 재정 현황 비교ㆍ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지속가능한 지하수 이용ㆍ관리를 위한 지하수 분야 재정체계 개선방안 제시

2. 연구 추진 체계
1) 통합 물관리와 연계한 지하수 정책방향 설정
○ 국내 수자원 현황 및 지하수의 역할 분석
- 전체 수자원 현황, 용도별 현황 등 지표수 관련 자료 조사
- 지하수 수량/수질 현황 및 변화 분석
- 지하수 조사ㆍ관측ㆍ관리 관련 법ㆍ제도 조사
○ 통합 물관리 등 물관리 여건 변화 분석을 통한 지하수 정책방향 설정
- 물관리기본법에 따른 통합 물관리 현황조사 및 파악
- 현 지하수 관리체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2) 유역 내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마련
○ 국내 지하수 평가ㆍ관리체계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유역관리의 필요성 검토
- 지표수 평가ㆍ관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