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소음지도를 활용한 지역(도시)별 환경용량평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국내외 소음지도 작성
1. 유럽의 소음지도 작성
2. 유럽의 소음지도 활용
3. 국내의 소음지도 작성
4. 국내의 소음지도 및 측정망 활용
5. 국내외 소음지도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

제3장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1. 유럽의 소음 관련 지수 및 한계
2.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개발
3. OO시 및 △△시의 소음종합지수 산정 및 정책적 활용 방안

제4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ㅇ 기존 소음지도는 소음 환경 전체를 시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음
ㅇ 그러나 공간 단위별로 소음의 종합적인 상황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함
※ 소음지도에는 소음노출 인구, 각 소음도에 대한 건강영향 등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소음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데 한계
ㅇ 따라서 소음지도에 표시되는 소음도, 소음노출 인구, 건강영향 등에 근거하여 소음저감 정책 및 대책을 수립할 필요 있음
ㅇ 상기와 같이 시행할 때 가장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Ⅱ. 공간 정보를 활용한 소음종합지수 제안
ㅇ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소음에 노출되는 인구 및 소음에 의한 건강영향을 종합적으로 산정하여 이를 공간상에 표출하는 방안을 제시
ㅇ 그러나 아직까지 소음의 건강영향 등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가 국내에 없기 때문에 EU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어 이로 인한 한계점 존재
ㅇ 결과적으로 국내 현황을 온전히 대표하는 결과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기존 소음지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출 면적, 노출 인구 산정보다는 좀 더 정확하고 비용 대비 효과적인 소음 저감 정책 및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
ㅇ 향후 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국내 데이터를 확보하여 좀 더 국내 현황을 반영한 현실적인 소음종합지수의 제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