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기후환경정책연구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II)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차 연도 연구의 주요 결과(요약)
3. 2차 연도 연구 추진체계와 보고서 구성

제2장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홍수 빈도분석
1.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2. 연 최대 일 강우량의 경향성 분석
3. 미래 확률강우량의 변화 전망
4. 정책적 시사점

제3장 Water-Energy-Food 넥서스의 개념과 북한의 현황
1. WEF 넥서스의 개념과 분석사례
2. WEF 관련 북한 법령 분석
3. WEF 관련 북한 연구 간행물 분석
4. WEF 넥서스 관련 북한 현황
5.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Water-Energy-Food 넥서스에 미치는 영향
1. 북한 유역도 제작 및 DB 구축
2. 시범유역의 선정 및 유역모델링 구축
3. 유역모형 특성
4. 시범유역의 WEF 넥서스 현황과 산림복원·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축
5. 시범유역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
6.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연구결과 및 향후 계획
1. 연구결과(요약)
2. 연구의 한계점 및 보완점
3. 향후계획: 3차 연도 연구계획

참고문헌

부 록
Ⅰ. 대상 법령의 세부 구성 및 조항 요약
Ⅱ. WEF 관련 북한 연구자료 목록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빈번해지는 물재해(가뭄 또는 홍수)는 자연 혹은 인공 물 인프라 시설이 부족한 북한에서 심각한 인명·재산 피해를 야기함
ㅇ 산림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북한의 산림황폐화 수준은 매우 심각함
ㅇ 2020년 발생한 폭우와 태풍과 같은 기상 이변급 재해는 물 인프라가 부족한 북한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킴. 특히 주요 곡창지대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켜 북한의 식량안보상황이 악화됨
ㅇ 북한의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수력 발전(량)은 장기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취약함
ㅇ 산림복원이 남북한 간 환경 협력 분야의 우선과제로 채택됨에 따라 양측에서 환경개선 및 교류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음
o 북한의 물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가 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물 이용 문제 해소를 위한 북한 산림환경의 보전과 기후변화 적응은 물론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관점의 향후 환경협력 과제와 정책방향을 도출
2. 연구 추진 체계
o 본 연구는 총 3개년 연구계획 중 2차 연도 연구에 해당됨

Ⅱ.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홍수 빈도 분석
1. 북한 전역 대상 미래 홍수 규모 및 빈도의 변동성에 대한 분석
o 관측자료 및 두 개의 대표농도 시나리오(RCP 4.5 & 8.5) 기반으로 연 최대 일 강우량의 미래 추세 전망
ㅇ 미래 홍수빈도의 분석을 위해 과거(1987~2020년) 자료를 사용하여 연 최대 일 강우량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양시를 포함한 중남부 내륙지역에서 최대 일 강우량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임
ㅇ 극한강우량의 미래 경향성 분석을 위해 5개의 대표 GCM 모델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가 반영되는 기간(2006~2100년)의 자료를 사용하여 미래 연 최대 일 강우량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함. RCP 8.5 시나리오에서 일 최대 강우량의 뚜렷한 증가 전망이 나타남
ㅇ 과거 관측 자료를 사용했을 때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의 극한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보인 지역이 일치하지 않았음. 지역적 연구의 공간적 상세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고려했을 때 지역별 또는 관측소별 전망 결과에 대한 비교보다는 장기 전망의 경향성을 북한 전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올바를 것으로 판단됨
o 관측자료 및 두 개의 대표농도 시나리오(RCP 4.5 & 8.5) 기반으로 확률강우량의 미래 변동성 전망
ㅇ 매개변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한다는 가정 아래, 비정상성을 반영할 매개변수를 선정·추정하여 확률강우량의 미래 변동성을 분석함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미래 극한강우량의 규모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함. 평양관측소 RCP 8.5의 trend 매개변수는 RCP 4.5 대비 약 3배 이상 크게 산정되고, RCP 8.5의 1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은 2020년에 438mm/day에서 2080년에 556mm/day 로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ㅇ 북한지역의 2020년대 1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은 2080년에는 38년 빈도로 작아지며, 극한강우사상이 더욱 빈번히 발생할 것으로 예측함

Ⅲ. Water-Energy-Food 넥서스의 개념과 관련 북한의 현황
1. 국제기구 및 학술연구에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