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한국 제주도 및 고창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지표 평가

생물다양성 지표는 생물권보전지역을 관리하고 보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물다양성 지표를 평가하여 생물권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위협 관리 전략을 논의하고자 한다. 전체 생물종 다양성 평가는 국내 조사 및 학술 논문을 바탕으로 제주도와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에서 각각 5,911종, 2,323종의 생물종이 확인되었다. 적색목록 지수는 제주도와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이 각각 0.960점, 0.965점으로 제주도보다 고창의 멸종위기종이 더 양호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와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에는 각각 237종과 129종의 외래종이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은 생태계 면적비율은 악화되고 식생등급은 개선되었으며, 자연공간의 평균패치 크기는 유의미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은 자연공간의 평균 패치 크기와 식생등급은 개선되었으며, 생태계 면적비율은 유의미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보호지역 비율은 제주와 고창 생물권보전지역 모두에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권보전지역은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하여 목적과 용도를 달리하고 있다. 완충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보전과 생태계의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해 핵심 및 완충 지역의 모니터링과 보고는 차별화 되어야 한다. 그러나 두 지역 평가를 위한 데이터 축적에 대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더 많은 모니터링과 보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가용성 문제로 인해 이러한 구역을 구분하지 않았다. 향후 생물권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보고, 평가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구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핵심주제어] 생물다양성, 지표 평가,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보전
Biodiversity indicators are crucial tools in managing and conserving biosphere reserv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biodiversity status of biosphere reserves by evaluating various biodiversity indicators and discussing efficient threa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assessment of overall species diversity, based on national surveys and academic papers, 5,911 and 2,323 species in Jeju and Gochang biosphere reserves,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Red List Index, Jeju and Gochang biosphere reserves scored 0.960 and 0.965, respectively, indicating a more favorable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Gochang than in Jeju. Jeju and Gochang biosphere reserves had 237 and 129 alien species, respectively. In the Jeju Biosphere Reserve, the ecosystem area ratio deteriorated, vegetation grade improved, and average patch size in natural space showed no significant trend, while in the Gochang Biosphere Reserve, the average patch size in natural space and vegetation grade improved and the ecosystem area ratio showed no significant trend. The protected area ratio was enhanced in both Jeju and Gochang biosphere reserves. Biosphere reserves have different purposes and uses for their core, buffer, and transition areas. Designating the buffer zone as a protected area is a crucial step for the ongoing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stability of ecosystems. Therefore, monitoring and reporting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ly for practical biodiversity assessment. However, more monitoring and reporting on these zoning areas are needed to avoid data accumulat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