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국내 기업규모에 따른 ESG 대응분석 : E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경영 패러다임의 변화로 ESG는 국내기업의 전략적 마켓팅 및 투자평가를 위한 필수항목이 지만 ESG 지표중 환경지표의 실천에 대해서는 실적이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ESG 지표비교 및 국내기업의 실천사례를 이용하여 ESG 환경지표 대응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기업규모별 ESG 대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ESG지표는 지표의 특성에 따라 탄소배출과 기후변화, 자원이용과 오염물질저감. 친환경기술 분야와 환경경영 등 4개의 주요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국내외 기관별 지표분석 결과 카테고리별 지표내용은 유사성이 높았지만 각 카테고리별 비중은 차이를 보였다. 해외기관은 기후변화와 폐기물 및 친환경 기술에 대한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 기관에서는 환경경영 및 규제준수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ESG 경영보고서 사례분석에서는 대기업의 경우는 4개 카테고리가 서로 유사한 비중을 차지하여 규제적 접근외에 자발적 실천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견기업의 경우는 규제적 성격이 높은 지표에 대한 실천비중이 높았다.

[핵심주제어] ESG경영, 환경지표, 기업규모, ESG대응, 지속가능환경
Consideration of ESG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strategic marketing and investment evaluation of domestic companies. However, among ESG indicators,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indicators has been minima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SG implement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indicators through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ESG indicators and companies' ESG reports. We categorized the indices into four major groups: carbon emissions and climate change, resource use and pollutant reduction, eco-friendly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content of each category was highly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each category. Foreign institutions placed greater emphasis on climate change, waste management, and eco-friendly technology, while domestic institutions focused more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gulatory compliance. The analysis of ESG repor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SG practices based on company size. Major companies exhibited similar proportions among the four categories, indicating a voluntary approach in addition to regulatory compliance. In contrast, medium-sized compani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regulatory compliance measures.

[Key Words] ESG management, Environmental indicators, Company size, ESG response, Sustainable environment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