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 관점에서의재생에너지원조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본 연구는 OECD/DAC 공여국의 재생에너지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환경정의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OECD/DAC 회원국 중 25개 공여국을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들 국가의 재생에너지 무상원조금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원조부문과 비원조부문으로 구분하여 투입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고정효과모형 및 확률효과모형과 자기상관 및 이분산성을 고려한 패널GLS모형 및 PCSE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보다 엄격한 조건을 적용한 패널GLS모형과 PCSE모형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패널GLS모형과 PCSE모형은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 공통적으로는 원조부문에서 환경o에너지정책원조, 비원조부문에서는 공여국 내 재생에너지 공급비율, 녹색당 의석비율, GDP 중 환경세 비율이 재생에너지 무상원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공여국 내 환경정책을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재검토, (2)글로벌 이니셔티브에 환경정의의 원칙 규정화, (3)기후위기시대에 맞추어 환경원조의 가치와 의미 재정립, (4)공여국 간 체계적인 환경원조데이터의 구축 지원o협력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핵심주제어] 환경정의, 환경원조, 재생에너지원조, 패널GLS모형, PCSE모형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justice aspect of the renewable energy aid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from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gram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e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DA program (budget), which is implemented by OECD’s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For this analysis, we constructed a panel data set of 25 OECD/DAC member countries that provided renewable energy aid from 2002 to 2021, using two explanatory variable groups, ODA and non-ODA sector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adopted a fixed-effect model and a random-effect model. Also used was a panel model of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and a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 (PCSE) model,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autocorrelation and heteroskedasticity. The analysis based on the panel GLS and PCSE models finds that, in the ODA sector, the environment and energy policy aid, and, in the non-ODA sector, the renewable energy supply ratio, the proportion of Green Party members in the donor countries’ national assemblies, and the proportion of environmental taxes in their gross domestic products (GDP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DA renewable energy ai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veal the following needs: (1) rechecking donor countries’ polic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from the standpoint of environmental justice, (2) standardizing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 justice in renewable energy initiatives globally, (3) redefining the value of environmental aid in response to the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