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고물상 단속과 활용 : 매일신보, 동아일보,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 고물상 실태연구

일제강점기 시대의 고물상에 대한 단속과 활용을 당시의 한글 신문 기사를 통해 확인하여 고물상의 실태를 1기(1912~1919), 2기(1920~1936), 3기(1937~1945)로 분석해 보았다. 1912년의 고물상취체법을 바탕으로 당시의 고물상은 단순한 고물업을 넘어 다양한 업종이 지정되었으며, 사회의 신문물을 접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도 하고, 직업으로 진입하기 좋은 업종이기도 하였다. 일본의 전쟁 확대로 고물상의 부정행위는 증가하였으며 폐품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고물상이 이용되었고 폐품회수조치는 자유로운 고물상의 수집행위를 위축하게 하였다.

[핵심주제어] 일제강점기, 고물상, 고물상취체법, 전쟁, 폐품회수조치
The crackdown and utilization of junkyard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confirmed through Korean newspaper articles at that time. The situation of junkyards is analyzed in 1(1912~1919), 2(1920~1936), and 3(1937~1945). Based on the Junkyard Commerce Act of 1912, the junkyards at that time were designated under various types of businesses, not just junk business. Junkyards served as a channel through which society could access products, and also provided good job opportunities. With the expansion of the war in Japan, fraud at junkyards increased. Eventually, junkyards became an efficient method of scrap collection, and free collection by junkyards was discouraged.

[Key Words] Japanese colonial period, Junkyard, Junkyard Commerce Act, War, The scrap collection measures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