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탁연구
사업보고서 뉴노멀 사회의 기후탄력 물 순환이용 도시 구축방안 연구(Ⅰ)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방법

제2장 물 순환이용 도시 개념 정립
1. 도시 물관리의 쟁점
2. 도시 물관리 관련 논의
3. 물 순환이용 도시 모델
4. 소결

제3장 도시 물순환 회복 가능성 분석
1. 물순환 관련 정책 현황
2. 물순환 관련 기술 개발 및 적용 여건
3. 물순환 관련 정책의 성과와 한계
4.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과제

제4장 도시하수 에너지화 잠재력 분석
1. 도시하수 에너지화 필요성
2. 도시하수 에너지화 쟁점
3. 도시하수 에너지화 타당성 검토
4. 도시하수 에너지화 확대를 위한 과제

제5장 결 언
1. 결론 및 정책 제언
2. 2차 연도 연구계획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o 홍수, 가뭄, 수질오염 등 지금의 도시 물관리 문제는 기후변화, 인프라 노후화, 감염병 확산과 겹쳐 앞으로 더 큰 위기로 비화할 수 있음
ㅇ 중앙집중형 방식의 도시 물관리 시설은 급증하는 물 수요를 맞추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수자원의 외부 의존도를 높이고 도시 하류에 더 많은 환경적 부담을 가하고 있음

o 도시 내·외부의 변화 요인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 물관리 체계가 지속가능하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쪽으로 바뀌어야 함
ㅇ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물과 에너지가 순환되며 하수처리수와 같은 비전통적 수자원을 지금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물 순환이용 도시’를 대안으로 제시하였음

2. 연구 목적 및 방법
o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대내외적인 위협 요인에 물관리 시스템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물 순환이용 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ㅇ 세부적으로 물 순환이용 체계를 구축하고, 하수에 포함된 유기성 자원을 이용하여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안을 모색함

o 연구 과정에서 문헌 연구 및 각종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 도시 물관리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 대안을 도출함

Ⅱ. 물 순환이용 도시 개념 정립
1. 도시 물관리의 쟁점
o 도시화로 불투수면이 증가한 결과, 강우유출수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홍수가 발생할 위험이 커지며 건기에 하천이 건천화되는 문제도 심해짐

o 코로나19 대유행은 물 수요 변화와 같은 즉각적인 변화 외에도 상수원, 물 공급, 물 이용, 하수처리 등 도시 물순환 과정 전반에 변화를 가져왔음
ㅇ 여러 도시에서 코로나19 기간에 상업용수와 공업용수의 수요는 전보다 많이 감소했지만, 가정용수 수요는 뚜렷하게 증가하였음
- 상하수도시설 운영인력 부족, 변기에 버려지는 이물질(마스크 등) 증가, 하수의 의약물질 잔류농도 증가 등의 사례가 보고되었음

o 전 지구적으로 에너지의 60~80%가 도시에서 소비되므로 도시의 저탄소화는 탄소중립에 필수 조건임

2. 도시 물관리 관련 논의
o 도시 물순환, 지속가능발전, 저영향개발, 생태수문학 등 최근의 물관리 담론은 수자원 보전에 바탕을 두고 지표수, 지하수, 강우유출수 및 하·폐수의 통합적 관리를 도모
ㅇ 통합관리의 대상을 하수처리수 재이용, 해수담수화, 단지 차원의 물순환까지 확장한 ‘하나의 물(One Water)’ 개념까지 등장

o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 개념으로 탄소중립 도시가 대두되었으며, 환경보전과 삶의 질 향상이 탄소중립 도시를 구성하는 핵심 내용임

o 물은 지구 대기권 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재생가능한 자원이지만 그동안 순환경제 논의에서 관심을 받지 못했음
ㅇ 순환경제 개념을 물관리에 적용함으로써 물의 자연적 순환 복원, 물이용 효율 제고, 경제 성장과 물 사용량 및 수질오염의 증가를 탈동조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o ICT 기술에 방점이 찍혀 있던 스마트 도시에 기후변화, 지속가능성, 회복탄력성과 같은 ‘그린’ 요소를 결합한 ‘스마트 그린도시’ 개념도 등장함

3. 물 순환이용 도시 모델
o 국내외 논의를 토대로 물 순환이용 도시의 개념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음
ㅇ 물 순환이용 도시 모델은 ‘물의 순환 및 이용’과 ‘에너지의 회수 및 이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