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탁연구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및 개발계획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대기환경 분석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 개요
1.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및 영향분석
2. 개발계획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기여도 분석

제3장 대기질 분석
1. 대기환경평가 시스템
가. 시스템 개요
나. 모델링 분석 영역
다. 기상 모델링
라. 배출량 모델링
마. 대기질 모델링
2.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및 영향 분석
가. 전국 개발사업 현황
나. 개발계획 정보 수집
다. 배출량 산정
라. 개발계획에 따른 연간 대기질 변화 전망
3. 개발계획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기여도 분석
가. 대상 지역
나. 배출량 특성
다. 기여도 분석
라. 기여농도 전환율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제5장 향후 계획

참고문헌

Abstract
국토 전반에 걸친 환경현황을 지역별로 파악하고 향후 개발계획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이 본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및 개발계획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적용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o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연간 개발계획에 대한 대기질 전망의 틀을 만들기 위해 우선 산업단지와 에너지 사업 개발 계획에 대해 과거 5년간(2011~2015년) KEI에 접수된 환경영향평가서를 통해 개발계획 사업들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계획으로 인한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개발계획으로 인한 배출량 산정 과정에서 연료사용으로 인한 배출량 외에 고려되지 못한 비점오염원 산정을 위한 원단위 추정을 수행하였다. 추정된 원단위를 적용하여 개발계획에 따른 배출량을 산정하였고, 이에 따른 대기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상기간 개발계획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은 대부분의 물질에 대하여 충남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은 주로 개발계획 사업이 위치하는 지역 중 배출량이 가장 많은 울산 및 충남지역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며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O3의 경우 개발계획 사업이 위치한 서해안, 광양만, 울산 등 배출원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지역에서 고농도가 나타나 다른 물질보다 광역적인 규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계획으로 인한 국내 대기질 변화 전망 연구에서 수행된 SCC별 원단위 추정은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으로 현 시점에서 가용한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원단위 산정 방법을 기반으로 향후 개선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o 개발계획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대기환경 분석
지방자치단체별 개발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는 오염물질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이 어디로부터 기인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오염원별 배출량의 기여농도 전환율 산정을 통한 개발계획 적정성 검토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별,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지역은 경기, 울산, 부산으로 선정하였고 각 지역별 오염원별 배출량(점, 선, 면 배출량)의 자체 및 주변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울산과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오염원별 배출량 기여율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오염원별 배출 규모에 비례하여 대기오염물질 농도 생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과 달리, 물질별로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울산지역 오염원별 NOx 배출량은 점 오염원이 23,652ton/yr, 선 오염원이 9,144ton/yr로 점 오염원이 선 오염원보다 약 2.5배 많이 배출되나, NO2 농도 생성에 대한 오염원별 기여율은 울산지역의 선 오염원 배출량 기여율이 15%로 점 오염원 배출량 기여율의 10%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편, 2차 오염물질인 O3은 광화학 반응의 결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특성에 따라 부산과 울산의 배출량 기여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울산 O3 농도 생성에는 울산지역 배출량이 11%, 부산지역 배출량이 11% 기여하나 부산 O3 농도 생성에는 부산지역 배출량이 6% 기여하는 반면 울산 배출량은 12% 기여하는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