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기본연구 녹색소비 촉진을 위한 성인 환경교육 방안 : 환경 인식 유형에 따른 접근

요 약

제1장 서론
1. 정책 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제2장 녹색소비 개념 및 정책 동향
1. 녹색소비
2. 녹색소비 관련 정책 및 사례

제3장 성인 환경교육
1. 무형식 환경교육의 필요성
2. 무형식 교육 사례

제4장 연구 결과
1. 교육 대상자 분석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3. 의미 네트워크 분석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연구 결과의 종합 및 시사점
2. 미실천 집단을 위한 성인 환경교육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 중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완성’은 사회 모든 구성원의 역할이 중요한 영역임
ㅇ 현재 녹색제품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가 낮아 실천이 부족하기 때문에, 녹색소비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함
- 자원순환과 관련하여 쓰레기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면서도 개인의 자율적인 의지에 맡겨야 하는 녹색소비의 실천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교육과 소통을 통해 녹색소비의 인식과 실천을 증가시키는 노력이 필요함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o 성인 환경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경 인식 수준이 다양한 집단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함
ㅇ 염정윤 외(2021)는 환경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시민 군집을 분류하여 총 5개의 환경 인식 유형을 도출한 바 있음
- 환경 지식 수준과 환경 실천 수준이 일치하는 군집도 존재하지만 환경 실천은 대체로 환경 정서와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남
- 즉, 시민 대다수는 환경에 대한 정서가 부족한 것이 문제임
- 환경 실천 수준이 높은 행동 중심 군집이나 녹색 시민 군집은 이미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기에 자연스럽게 환경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환경 실천 수준이 낮은 집단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환경 실천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o 본 연구는 환경 실천이 낮은 집단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 접근 방안을 개발하고, 이들을 녹색소비와 친환경 인식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함
ㅇ 실제 교육 현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환경 실천 수준이 ‘저’ 수준으로 나타난 무관심 군집과 회의주의 군집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함
ㅇ 성인 환경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환경 인식을 실질적인 환경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전략을 제안함

Ⅱ. 녹색소비 개념 및 정책 동향
1. 녹색소비
o 녹색소비의 개념화를 추진한 선행연구에서는 녹색소비를 환경 보존, 자원절약, 지속가능성 등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음
ㅇ 구매·사용·폐기 등 소비의 모든 단계에서 자원 사용과 탄소배출을 저감하려는 소비 행태로, 자신의 가진 욕구를 최소한으로 충족시키면서 소비 활동 시 환경을 고려하는 것으로 정의함
- 소비의 한 유형으로서의 녹색소비는 상업적 거래와 비상업적 거래로 나뉘며, 상업적 거래는 친환경 제품 구매를, 비상업적 거래는 자원 사용 감소와 문화 형성 및 참여 등을 포함하고 있음

o 녹색소비에는 소비와 자원 보존이라는 양립하기 어려운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행동의 친환경성에는 복합적인 고려사항이 존재
ㅇ 녹색소비는 구매 단계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비를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 과정임
- 소비에서의 의사결정은 “수요 인식→정보 검색 및 대안 검토→구매→사용→사용 이후”의 단계를 거치는데, 각 단계에서 친환경적인 고려가 이뤄져야 함

2. 녹색소비 관련 정책 및 사례
o국내 녹색소비 관련 법률 및 정책으로 o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o, o자원순환기본법o, 자원순환기본계획, o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o,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등이 있음
ㅇ o탄소중립기본법o은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법률로, 온실가스 감축, 기후 적응, 녹색성장 등을 다루며 녹색소비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음
- 탄소중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