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사업 입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현황 및 배출원 특성 분석

요 약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 개요
1. 연구 자료
2. 연구 체계

제3장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대기 중 농도 및 위해도 분석
1. 환경부 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 대기 중 농도 및 위해도
2. 환경영향평가서 자료를 활용한 발암성 물질의 농도 현황 분석

제4장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 특성 분석: 사업장 중심
1. PRTR을 활용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 특성 분석
2. PRTR 자료와 SEMS 자료의 비교를 통한 배출 특성 분석

제5장 결론 및 활용방안
1. 결론
2. 발암성 유해물질 정보를 활용한 환경영향평가 지원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환경영향평가 및 건강영향평가 시 대기 중 특정대기유해물질 정보가 중요해지고 있으나 현황 파악의 어려움이 있음
ㅇ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농도를 통하여 개발사업의 오염물질 저감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넘어 입지 적정성 평가에도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ㅇ 그러나 현황농도 측정 주기 및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배출원 파악이 매우 미흡함. 배출량 정보로 활용되고 있는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제도(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의 경우 취급량이 많은 대규모 시설에 한정된다는 한계점이 있음

o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시 유해대기오염물질 현황 파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현황농도 정보와 배출원 파악의 추가 고려사항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함
ㅇ 이에 국내 측정자료를 이용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현황 분석 및 배출원 자료를 활용한 주요 배출지역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사업 입지 적정성 분석 시 활용 가능한 지자체 수준의 현황을 제시하고자 함
- 국가 측정망에서 측정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에서 측정한 농도, PRTR 자료 및 대기배출원 관리시스템(SEMS: Stack Emission Management Syst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음

Ⅱ.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대기 중 농도 및 위해도 분석
1. 환경부 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발암성 대기오염물질의 대기 중 농도 및 위해도
o 벤젠의 경우 모든 국가 측정망에서 위해도 기준 10-6을 초과하는 수준이고 일부 지점의 경우 10-5 역시 초과하였음
ㅇ 울산 여천동과 전남 중흥동은 2016년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였으나 2017년 대기환경기준 이내로 낮아졌고, 각각의 측정지점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여수국가산업단지 내에 위치함
ㅇ 충남 독곶리의 경우 2016년에 비해 2017년도에는 벤젠 농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해당 측정지점은 서산 대산일반산업단지 내에 위치함
ㅇ 제2종 일반주거지역인 인천 구월동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모두 위해도 기준 10-5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지역의 벤젠 배출원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o 니켈, 크롬, 카드뮴의 경우 일부 지점들은 위해도 기준 10-6을 초과하고 있으나 10-5를 초과하는 지점은 나타나지 않았음. 비소의 경우 다수의 지점에서 위해도 기준 10-5를 넘는 수준으로 나타났음
ㅇ 부산 학장동 지점은 사상공업지역 일반산업단지 내 학교에 해당하나 니켈 및 크롬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카드뮴 농도가 높게 나타난 대구 이현동 지점은 서대구 일반산업단지 내 학교에 해당함
ㅇ 비소는 서울지역을 포함하여 위해도 측면에서 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위에 해당함

2. 환경영향평가서 자료를 활용한 발암성 물질의 농도 현황 분석
o 환경영향평가서 내 자료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이 있는 벤젠은 측정 자료의 수를 상대적으로 많이 확보할 수 있었으나 중금속의 경우는 전국 단위의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측정 자료의 수가 적었음
ㅇ 현황농도를 파악하는 데 유사 지역에서 측정된 자료의 활용은 가능하나 참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국 단위의 경향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