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선박 및 발전 시설의 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 개요

제3장 대기환경평가 시스템
1. 시스템 개요 및 모델링 영역
2. 기상 모델링
3. 배출량 모델링
4. 대기질 모델링

제4장 선박의 미세먼지 기여도 산정
1. 대상 범위
2. 배출량
3. 기여도 산정 결과

제5장 발전시설의 미세먼지 기여도 산정
1. 대상 범위
2. 배출량
3. 기여도 산정 결과

제6장 선박 및 발전시설 운영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1. 조기 사망자 수 산출 방법
2. 분석 결과

제7장 요약 및 활용방안
1. 요약
2. 정책 활용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o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미세먼지 관리를 위하여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의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고 있음
ㅇ 이와 관련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2019년 11월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 국가기후환경회의에서 미세먼지 고농도 계절(12~3월) 동안 국내 미세먼지 20% 감축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최대 27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5등급 차량의 운행제한 등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라는 고강도 대책을 발표함

o 우리나라 미세먼지 요인이 되는 국내 주요 배출원은 전국 또는 지자체별로 다르게 나타남
ㅇ 전국의 경우 사업장이 38%를 차지하여 가장 큰 1순위 배출원이고, 뒤를 이어 건설기계, 선박 등이 16%, 발전소가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부산, 울산과 같은 항만도시의 경우는 선박 기인 미세먼지의 영향이, 충청남도의 경우는 석탄발전소 기인 미세먼지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등 지역별 배출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기여도가 다르게 나타남

o 이처럼 지자체별로 미세먼지 요인이 되는 배출원의 성격이 다르나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온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정책은 석탄발전소와 경유 차량의 관리에 치우쳐 지자체별 배출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관리 방안이 부족한 실정임
ㅇ 이와 관련하여 2019년 6월 해양수산부는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관리 대책이 부족한 항만·선박 분야에 관한 미세먼지 저감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도 하였음

2. 연구 목적
o 본 연구에서는 주요 미세먼지 요인이 되는 배출원별(중분류 수준) 미세먼지 기여도 평가를 통하여 지역별 배출원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전환율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ㅇ 당해 연도는 선박 및 석탄, LNG 발전시설의 미세먼지 기여도 평가 및 미세먼지 전환율(배출물질 1톤이 생성하는 PM2.5 농도) 자료를 제공
ㅇ 해당 배출원의 관리가 필요한 지자체, 관계기관 등에서 배출량 저감을 통해 변화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관리대책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Ⅱ. 선박의 미세먼지 기여도 산정
o 전국 선박의 미세먼지 기여도를 산정하고, 선박 주요 배출물질별(NOx, SOx, PM2.5) 미세먼지 기여도를 산정

o 국내 선박으로 인한 미세먼지 기여농도는 연평균 0.57㎍/㎥로 나타남
ㅇ 선박의 미세먼지 기여농도는 국내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26㎍/㎥의 약 2%에 해당
ㅇ 전국 석탄발전소 연평균 기여농도 0.51㎍/㎥과 유사한 영향으로 해상 배출원인 선박 외에 화물 취급 장비, 철도기관차, 화물자동차 등 육상 배출원까지 포함하여 항만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미세먼지 기여도는 이보다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o 국내 제1의 항구도시 부산의 경우 부산지역 선박 배출량의 지자체별 미세먼지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부산 자체에 미치는 기여농도가 연평균 0.97㎍/㎥로 나타남
ㅇ 이는 전국 선박으로 인해 부산지역이 받는 영향 1.39㎍/㎥의 약 65%로, 자체 영향이 절반 이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음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