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사업보고서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및 차별성
3.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제2장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사례
1. 보건
2. 에너지
3. 수자원
4. 농작물
5. 인프라

제3장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1. 보건(노동생산성)
2. 에너지
3. 수자원
4. 농작물(소비자물가)
5.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제4장 비정형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1.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개요
2. 인과지도 개요
3. 인과지도 기본 모델 구축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부문별 정책적 시사점
2. 폭염 및 한파의 리스크 최소화 방안

참고문헌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o 세계경제포럼(WEF)의 Global Risk Report
ㅇ 분야별로 집중 분석한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 분석을 넘어서, 사회·경제에 발생하는 다양한 간접 영향의 분석이 중요해짐

o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사회·경제·환경 시스템 안에서 영향이 전이, 증폭돼 다양한 분야에 2, 3차 피해를 줌
ㅇ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직접적 피해(1차 영향) 위주의 통계적 연구가 주로 수행됨
ㅇ 피해 요소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피드백 분석 한계로 사회·경제적 영향 과소평가
ㅇ 사회시스템 안 리스크 간의 상호작용 및 상호 연관성 분석 필요

o 기후변화 간접적 영향과 부문 간 전이과정에 대한 분석 및 정량화 필요
ㅇ 기후변화 영향의 전파 과정을 구조화해 체계적 리스크 대응 필요
ㅇ 기후변화 리스크의 인과관계, 비선형적 변화, 전이효과(cascading effect) 분석을 통한 통합적 대응 필요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o 체감형 적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체계 구축 I, II 주요 연구 성과

Ⅱ. 데이터 기반 영향 분석
1. 보건(노동생산성)
o 결과 요약 및 시사점
ㅇ 야외근무 및 고온에 노출되는 비중이 높은 직업은 2018년 여름철(6~8월)에 평소 대비 평균 62.38%의 효율이 나타남
ㅇ 지역별로 업무효율의 저하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순으로 크며, 강원도가 영향이 가장 작은 것으로 확인됨
ㅇ 고온에 취약한 직업군이 많은 지역은 전라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순으로 확인됨
ㅇ 업무효율 저하로 인한 손실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일평균 758,723시간의 손실로 인해 하루 약 94,840명의 인력이 더 필요함

o 한계점
ㅇ 본 연구에서의 WBGT 지수를 활용한 업무효율에서 활용되는 100~500W의 직업분류는 직종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하여, 작업형태 및 근로자의 개별적인 역량은 구분하지 못함. 또 직업 간 고온 노출 정도, 작업환경, 작업강도 등 근로환경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신체조건, 컨디션, 기초대사량 등의 개인의 차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음
ㅇ WBGT는 온도, 습도, 일사량, 풍속 등 다양한 기상변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상대습도를 통해 추정치를 사용함. 시간별이 아닌 일평균 값을 사용하여 일과시간의 WBGT는 과소 추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ㅇ ISO 7243에서 제시하는 WBGT와 근로역량 관계는 작업강도에 따른 WBGT를 기준으로 제시됨. 그러므로 도출되는 업무효율 저하는 권장노출한계로 실제 업무효율의 저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 에너지
o 결과 요약 및 시사점
ㅇ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동계의 한파(기온 하강)는 개별 가구의 난방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난방에너지 지출 상승을 확인
ㅇ 미시자료 분석을 통해 난방에너지에 대한 지출은 가구의 가처분소득과 양의 관계가 있음을 보였음. 또한 난방 방식 및 가구의 소득수준(일반 및 저소득)에 따라 난방에너지 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ㅇ 일부 모형설정에서 난방수요 증가(난방도일 증가)가 식료품 지출액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남
ㅇ 국내의 에너지 빈곤에 대한 정책은 단편적인 에너지 요금 할인 정책임
- 에너지 요금 할인은 가구의 가처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