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수시연구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 진단과 복원 방향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주요 내용과 수행체계
가. 연구의 주요 내용
나. 연구의 추진체계

제2장 도시와 자연환경
1. 도시와 도시지역의 자연환경
2.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의 원인과 영향 및 복원의 필요성
가. 자연환경 훼손의 원인과 영향
나. 도시지역 자연환경 복원의 필요성

제3장 도시지역 자연환경의 훼손 진단
1. 자연환경 훼손 진단에 대한 선행 사례
2.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 진단틀의 개발과 적용
가.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의 진단틀
나. 진단틀의 시범적용

제4장 도시지역 자연환경 복원과 방향
1. 자연환경의 훼손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2. 도시지역 자연환경의 복원원칙과 방향
가. 자연성의 회복
나. 도시 내 생물다양성의 증진
다. 도시농업의 확대
라. 기후변화 대응 효율과 회복력 증진
마. 지속가능한 발전의 도모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 진단지
Ⅱ. 도시지역 자연환경에 대한 설문조사지

Abstract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진전된 도시화와 국토개발로 인해 자연환경이 훼손되어 왔다. 도시 지역의 자연훼손은 특히 심각하여 도시민들은 자연이 주는 다양한 혜택을 충분히 받지 못할 뿐더러 도시의 회복력이 저하되고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 도시지역은 자연환경 복원이 필요함에도 그 현황이 충분히 파악되어 있지 않으며, 자연환경이 얼마나 훼손되었는지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진단틀조차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한 복원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대해서도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가 생태적 기능을 원활히 발휘할 수 있도록 도시지역의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진단 틀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하였으며, 그 복원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진단틀 개발을 위해 먼저 도시지역 자연훼손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도시 자연이 훼손되는 자연적 요인으로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산불, 산사태, 홍수,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와 기후변화 등이 있으며, 인간에 의한 요인으로는 인구증가와 폐기물 발생과 대기오염물질 같은 환경오염, 물리적 사건과 사고, 화재 등 인간으로 인한 각종 압력과 생태계 교란 요인으로 외래종 침입 등을 들 수 있다. 도시의 자연환경 훼손은 무엇보다도 도시화 그 자체와 난개발이 가장 큰 원인이다.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대상 도시가 원래 어떤 생태계였는지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생태계의 기능과 질, 그리고 경관적 측면을 검토해야 하며, 환경적 압력 수준과 도시농업과 같은 자연환경의 활용성과 지속가능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합적 진단 과정에서는 원래 생태계로의 가역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향후 복원계획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진단 틀은 크게 생태계, 생태계서비스, 경관, 야생동식물, 식생, 수생태계, 토양 및 지형, 도시농업, 지속가능성, 환경압력의
10가지 부문으로 구성하였다.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진단틀을 시범적으로 네 도시에 적용한 결과 각 도시에서 어느 부문이 취약한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도시 자연환경을 복원해나가야 하는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도시지역 자연환경의 복원 원칙과 방향을 설정하기에 앞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자연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도시의 자연환경 훼손 수준과 향후 복원의 방향 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연환경은 마음의 안정과 힐링을 주는 긍정적인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도시 자연환경의 조사 주체는 지방정부와 시민단체 및 시민 개개인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녹지와 물길과 같은 유형의 자연이 주로 복원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연환경이 많을수록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도시에서 녹지와 같은 자연이 더 복원, 조성되어야 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도시지역 자연환경의 복원 방향은 첫째 ‘자연성의 회복’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자연의 원리를 따르며 있는 그대로의 지형 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생태계의 물질순환을 추구하는 것이다. 둘째는 ‘도시 내 생물다양성의 증진’으로 이를 위해 작은 공간이라도 생물들이 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여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