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수탁보고서 기후변화 적응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ㆍ운영 및 신기후체제 합의문을 위한 한국의 적응 기여방안(INDCs) 작업 지원

1부 기후변화 적응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운영
1장 서론
2장 국내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 구축·운영
3장 국제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 구축·운영
4장 결론
부록

2부 신기후체제 합의문을 위한 한국의 적응 기여방안 (INDCs) 작업 지원
1장 개요
2장 한국 INDC 적응부문 작성을 위한 지원 활동
3장 제출된 해외 INDCs 적응부문 동향 파악
4장 결론
부록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이제 현실화되어, 전 지구가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몸살을 앓고 있다. 다양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적, 물리적 피해는 나날이 더 커져가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은 특정 계층이나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전반에 걸쳐 폭넓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 정책 수립 및 이행을 위한 다양한 국내외 네트워크 활동을 수행하였다. 먼저,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2016~2020) 등 주요한 적응이슈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여러 워크숍을 개최하였고, 민간 및 공공기관 등 다양한 국내 이해관계자들에게 적응인식을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주요 국제회의 및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적응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국제기구 및 선진 적응전문기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였으며, 한국의 적응경험과 노하우를 개도국에 전수하고자 개도국 교육과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은 비단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의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는 교토의정서의 후속인 신(新)기후체제에 대한 논의에 한창이다. 선진국에게 의무감축량을 부과하는 하향식의 교토의정서에 반해, 신(新)기후체제는 전 회원국의 참여를 독려하는 상향식의 방법을 채택하여, 우리나라도 기여방안을 제출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을 위한 한국의 적응 기여방안(INDCs)’ 작성에 걸친 전 과정을 지원하였고, 2015년 6월 적응이 포함된 최종안을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제출하였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