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기본연구 북한 환경정보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I) : 토지피복지도 구축을 중심으로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이론적 배경
가. 토지피복분류의 정의 및 목적
나. 토지피복분류체계
다. 원격탐사 영상자료의 특성 및 주요 위성
라. 토지피복분류방법
마. 정확도 검증 방법
2.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구축 현황
가. 구축 목적
나. 주요 추진경과 및 분류체계
다. 제작 방법
3. 토지피복지도 활용사례
가. 자연환경관리
나. 도시분야 활용
다. 산사태분야에서의 활용
라. 비점오염원관리 활용
마. 대기질오염관리 활용
4. 접근불능지역의 토지피복지도 구축사례
가. 환경분야
나. 도시분야
다. 산림분야
라. 농업분야
마. 접근불능지역 연구 특성 검토

제3장 접근불능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설정 및 구축 방법론
1. 개요
2. 분류체계(안) 설정
3. 분류체계별 구축방안
가. 기존 연구(2009년)와 구축방안 비교
나. 분류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개선(안)

제4장 접근불능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1. 연구대상지역
가. 대상지역 선정기준
나. 시범 구축지역(개성시)의 일반현황
다. 시범 구축지역(개성시)의 특징
2. 연구 자료 및 방법
가. 위성영상 선정
나. 활용 자료
다. 분류 방법별 절차 및 내용
3. 결과
가. 영상분석을 통한 시범 구축 결과
나. 육안판독을 통한 시범 구축 결과
다. 정확도 검증 결과
라. 결과물 비교분석
마. 1단계 토지피복지도 구축 소요예산(추정)

제5장 결론 및 발전방안
1. 연구요약
2. 발전방안
가. 환경 관련 분야 협의체 구성을 통한 협력방안 마련
나. 단계별 협력방안 구축

참고문헌

Abstract
최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통일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종합적인 국토 발전방향과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한반도 국토발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한반도 국토발전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며, 남북협력사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개별사업을 검토할 수 있는 포괄적인 국토발전계획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한반도 국토개발 마스터플랜 구축을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접근불능지역의 환경공간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북한의 환경공간정보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며, 그나마 환경부에서 구축한 대분류 토지피복지도가 있지만, 기 구축된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는 전 국토를 7개 항목으로 토지피복을 구분하고 있고, 공간 및 속성 해상도가 떨어짐에 따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지역의 토지피복지도 관련 선행연구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정보가 제한적인 북한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 방법을 검토하였다. 특히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존 2009년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연구, 접근불능지역의 도시지역의 토지이용도 구축 관련 선행연구, 산림지역의 대표 사례로 북한지역 산림황폐지 현황분석 연구 및 북한지역 농경지 현황 파악 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도시확장 예측이나 개발가능지 예측을 위한 도시분야의 토지피복지도 수요를 파악하고, 산림분야와 농업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토지피복지도 관련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안)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북한지역 토지피복지도 구축을 위한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류체계의 토지피복지도 구축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개성지역 일대를 구축시범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아리랑 3호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분류체계에 대해 분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북한 토지피복지도의 구축은 크게 아리랑 3호를 이용한 정확한 분류체계의 경계를 바탕으로 블록 경계 기반의 육안분석을 수행하고, 2009년 북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사례와 본 연구에서 활용한 영상 확인 결과 속성 확인이 모호한 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한 경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 산림, 농업, 환경보전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속성값을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시가화지역에서는 주거지역, 상업지역과 같은 토지이용적 개념의 속성정보는 육안분석만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밀과 저밀시가화로 구분하여 속성을 제공하였다. 산림지역도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과 같은 속성정보 대신 고밀, 저밀산림으로 구분하여 속성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시, 산림, 농업분야에서 북한지역의 토지피복과 관련하여 분류체계별 세부적인 속성값 도출 연구 및 사업이 진행되어 결과물을 공유할 수 있다면 새롭게 세부적인 분류체계항목으로 토지피복지도의 분류항목을 갱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결과 아리랑 3호 영상을 이용한 NDVI와 육안분석을 통한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분류결과의 전체 분류정확도는 95.35%로 산정되었으며, 무감독분류와 기존 환경부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와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