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기초연구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제2장 빅데이터의 개념 및 분석기법
1. 빅데이터의 개념
2. 빅데이터의 분석기법
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나.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tics)
라.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마.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제3장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국내 현황 검토 및 분석
1. 환경소음 정형 데이터 현황
가. 국가소음정보시스템 데이터
나. 공공데이터포털 데이터
다.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공간데이터)
2. 활용 가능한 비정형 데이터 현황
가. 네이버 트렌드 검색 데이터
나. Social matrics 데이터
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

제4장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방안
1.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2. 소음·진동관리법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소음을 중심으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소음 관련 빅데이터 현황은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서, 정형 빅데이터는 주로 공공기관에서 공개하고 있는 데이터로 국가소음정보시스템(환경부 주관, 자동·수동 환경소음 측정망 데이터 외)과 공공데이터포털(행정자치부 주관, 오픈 API 자료 포함), 그리고 공간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국토교통부 주관)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비정형 빅데이터로는 대부분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소셜 빅데이터의 수집을 위해서는 전문기관에 의뢰를 하여 정형화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초 과제 특성상, 전문기관에 의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트렌드 검색 데이터(구글 트렌드 외)를 대상으로 검색 키워드 즉, 소음 키워드의 시간별 검색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을 위해, 소음 관련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는 법규(o소음·진동관리법o 외)에 대해 조사하고 기존 공개되고 있는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간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향후에는 기존 소음 민원 정보 등을 분석하여 관련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연계한다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