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수시연구 지자체의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ㆍ관리 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절차

제2장 기후변화 건강영향에서의 보건의료시설과 기후 회복력
1.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과 보건의료시설
가. 기후변화로 인한 보건의료시설의 영향
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과 보건의료시설의 역할
2.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제3장 해외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
1. WHO의 보건의료시설 대응 전략
가. 보건의료시설의 기후변화에 대한 저감 대응
나. 비상 시 보건의료시설의 대응
2. 미국의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
가. 미국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시설 회복력 강화 보고서
나.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평가점검표
다. 도구의 활용
3. 캐나다의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o관리 도구
가.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평가점검표
나.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 사업 사례
다. 도구의 활용
제4장 국내 보건의료시설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
1. 국내 공공보건의료기관 현황
2. 보건의료시설의 재해·재난 대응 현황
가. 재난안전관리대책 현황
나. 보건의료시설 관련 공공시설 안전관리대책
다. 보건의료시설 관련 매뉴얼 현황
라. 보건의료시설의 재해·재난 대응과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방안

제5장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방안
1. 한국형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의 개발방향
2. 개발된 도구의 활용
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지자체 세부시행계획 수립에 활용
나. 공공보건의료계획 및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의 활용 도구로 활용
다. 녹색건축 인증제도 내 보건의료시설에 특화된 도구로 활용
라. 의료기관인증제도의 평가 항목으로 활용

제6장 요약 및 향후 과제
1. 요약
2.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보건 부문의 논의는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에 집중됨으로 인해 보건의료시설의 영향 및 역할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보건의료시설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건강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기반시설이다. 이는 보건의료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이 건강피해로 직결되기도 하지만, 보건의료시설의 적응옵션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이 더 작게 나타나기도 하는 데서 기인한다.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은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시설의 본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적응 및 저감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는 적응 및 저감의 공동편익 극대화라는 최근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일치함으로 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선진국의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를 분석하여 국내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o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방안으로서 향후 한국형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 개발 방향 및 도구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WHO, 미국, 캐나다의 보건의료시설과 관련한 기후 회복력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미국과 캐나다의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는 보건의료시설 관련 관계자 및 이해관계자,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고,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를 위한 평가점검표, 평가점검표를 작성하기 위한 가이드북, 평가점검표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기후 회복력 강화 사업 사례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평가점검표는 기후 회복력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부문항을 구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국내 공공보건의료기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재해·재난 대응 현황을 조사하였다. 국내 공공보건의료시설은 213개로 이 중 약 85%는 지자체가 관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우리나라 재해 및 재난 발생 시 보건의료시설의 대응 현황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보건의료시설은 국가재난관리안전대책에서 응급의료기관으로의 역할 등 지원시설로만 인식되어 있었으며,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관리대책을 일부 시행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후 회복력에 대한 개념적 차원에서 현행 보건의료시설의 대응은 전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건의료시설의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및 국내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보건의료시설 기후 회복력 강화·관리 도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구는 가이드북, 평가점검표, 강화 사업 사례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도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가점검표의 세부문항은 기후 회복력의 개념 및 캐나다와 미국의 평가점검표 세부문항을 바탕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캐나다와 미국은 도구를 자발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보건의료시설의 참여를 자발적으로 이끌어내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적극적인 도구 활용 방안이 필요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세부시행계획, 공공보건의료계획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