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일반연구
수시연구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에 기반한 침입외래종의 관리 전략

제1장 서 론

제2장 외래종의 현황과 전망
1. 외래종의 증가
2. 외래종의 영향: 이익과 피해
3. 외래종의 증가 요인

제3장 기후변화와 생태계 기반 침입외래종 관리의 국내외 동향 및 사례
1. 침입외래종의 생태계기반관리
2. 우리나라의 정책
3. 선진외국의 정책
가. 미국
나. 유럽연합
다. 영국
라. 호주
4. 생물다양성협약에서의 침입외래종 관리 동향
5. 기후변화를 고려한 침입외래종의 생태계기반관리 사례
6. 시사점
가. 침입외래종의 생태계 기반 관리
나. 우리나라와 선진외국의 침입외래종 정책과 사례

제4장 기후변화와 생태계기반 침입외래종의 관리전략
1.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종의 도입 및 정착, 확산 조사 및 예측 방법과 수단의 개발
2.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분포에 따른 지역별 관리
3. 침입외래종의 모니터링과 빠른 경보체계 프로그램 구축
4. 생태계의 복원력 제고
5. 침입외래종의 인식제고, 교육과 홍보
6. 연구 및 정보교환
7. 법, 제도의 보완

제5장 결론

침고문헌

Abstract
기후변화에 의해 침입외래종의 유입이 증가되고 있으며 생태계 정착 및 확산이 빨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의해 역동하는 또는 역동할 수 있는 침입외래종의 정착과 확산에 대응하는 생태계 기반 관리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침입외래종에 대한 생태계기반관리의 배경과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관리에 관한 미국, 영국, 유럽연합, 호주, 생물다양성협약에 제시되어 있는 정책을 비교 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유럽연합에서 접근한 바 있는 돼지풀의 생태계기반관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침입외래종의 생태계기반관리 적용의 현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침입외래종의 생태계기반관리는 침입외래종의 생물종별 접근, 지역적인 접근, 적응관리 순환, 시행 정책에 대해 사전고려의 원칙 적용,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미국, 영국, 호주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침입외래종의 생태계기반관리 전략이 발전되어 이미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에 관한 우리나라의 여건을 고려할 때, 생태계기반 침입외래종의 관리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에 새로이 제기될 수 있는 침입외래종에 대한 검역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공간분포에 따른 지역별 관리가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정착하였으며, 기후변화에 의해 침입성이 증가·유지되는 외래종의 서식지 분포 모델 등을 이용한 공간분포의 예측이 추진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 분포 모델인 CLIMEX 모델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국내 분포 및 확산 예측을 통해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가능지역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의 지역별 관리방안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에 CLIMEX 모델의 적용 결과로 도출된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MaxEnt 모델의 적용 결과로 도출된 실망초(Conyza bonariensis)의 국내 분포 및 확산 예측을 바탕으로 지역별 관리방안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과 결과 도출 과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공간분포에 따른 지역별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침입외래종의 모니터링과 빠른 경보체계 프로그램이 구축되어야 한다. 새로운 외래종의 도입과 기존에는 침입성이지 않았으나 침입성이 변화하는 외래종을 모니터링하며, 침입외래종에 대해서는 빠른 경보가 발휘되는 프로그램이 이행되어야 한다. 넷째, 침입외래종에 대한 생태계의 복원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이 생태계에서 우점화되지 않도록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정착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생태계 고유의 복원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와 침입외래종의 확산에 의해 생존이 위협받는 고유종이 조사되고 적극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다섯째, 침입외래종의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침입외래종의 우선 이해당사자인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서 국민적 차원에서 침입외래종의 문제를 이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