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초연구
기후환경정책연구 중장기적 적응전략 마련을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3. 1차 연도 연구 내용

제2장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1. 지구온난화 영향평가 사례
2. 기후변화 위험 및 적응 평가 방법

제3장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1. 개요
2. 지구온난화 도달 시기와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3.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 전망 비교

제4장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위험 전망
1. 개요
2. 폭염 리스크 평가 결과
3. 에너지 수요 리스크 평가
4.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 평가 결과
5. 농업가뭄 리스크 평가 결과
6. 산불 리스크 평가 결과
7. 호우 리스크 평가 결과

제5장 기후위험에 따른 부문별 적응대책 현황
1. 개요
2.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현황
3. 우리나라 기후위기 적응대책 특성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연구의 배경
ㅇ 지난 20년(2000~2019년) 동안 자연재해 발생이 앞선 20년(1980~1999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고, 경제적 피해는 1.8배 증가
ㅇ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될 경우, 21세기 말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약 5.7℃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폭염 등 극한 고온 영향이 증가하고, 호우와 홍수 또한 강화되고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
ㅇ 탄소중립 달성에도 현재보다 높아진 지구 평균기온과 함께 인간과 자연의 적응역량 한계로 인한 손실 발생 가능
ㅇ 기후위험 대응 부족의 정책적 문제점과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적응전략을 새롭게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정책 수준별 기후위험 관리와 적응 의사결정을 위한 지식 확대 필요
ㅇ 시급성이 높은 지역과 부문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적응 옵션 발굴과 합리적 자원 분배를 위한 적응정보와 지식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과학적 정책도구와 정보 공유플랫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함

o 연구의 목적
ㅇ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위험을 평가하고 다양한 적응 방안을 신속하게 검토할 수 있는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 시대의 기후위험 관리와 중장기적인 적응전략 마련을 지원하고자 함
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o 본 연구는 총 3개년 연구계획 중 1차 연도 연구에 해당함

ㅇ 적응전략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는 4개 부문으로 구성됨
- 지구온난화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분석 및 시나리오 DB 구축
- 주요 분야의 기후위험평가를 위한 지표기반 신속 평가 모형 개발
- 적응 옵션의 효과와 우선순위 평가를 통한 적응 시급성 진단체계 개발
- 탄소중립 달성 수준을 고려한 적응 시나리오 검토
ㅇ 1차 연도(2022)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수집, 전처리 및 분석 방법 개발, 지표기반 기후위험평가 틀 마련 및 시범 평가, 기후변화 적응현황 분석을 포함
Ⅱ.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o 기후위험평가
ㅇ 영국 CCRA는 5년마다 위험평가를 수행하며 기후위험 관리를 위해 향후 5년간 필요한 조치를 파악하고 단기-중기-장기에 발생할 기회를 식별함
ㅇ 2012년 최초 수행한 CCRA1은 기후위험과 영향의 정량화를 목표로 시작하였으며, 폭넓은 검토를 통해 가장 중요한 100가지 항목을 선정하고 기후위험과 기회를 식별함
ㅇ 2017년, CCRA2는 적응정보 생산을 위한 기후위험과 기회 평가를 목표로 시급성(urgency)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55개 항목을 선정하여 항목별 우선순위를 파악함
ㅇ 2021년, CCRA3는 적응정보 생산을 위해 65개 항목에 대해 기후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적응형 관리를 시도하며, 위험 및 기회에 대한 기존 3단계 시급성 체계를 개선함
ㅇCCRA 위험평가와 관련한 영국 기후영향 프로그램(UKCIP: UK Climate Impacts Programme)의 적응 의사결정 과정은 ① 문제와 목적 설정 ② 의사결정 기준 정립 ③ 위험평가 ④ 대안 파악 ⑤ 대안 평가 ⑥ 정책 결정 ⑦ 정책 시행 ⑧ 모니터링 및 평가, 리뷰의 총 8단계 절차로 수행됨
ㅇ 위험평가 단계의 세부적인 평가 과정은 총 3개의 세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