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초연구
사업보고서 그린뉴딜 이행을 위한 오염제로 (Zero Pollution) 달성 전략 연구(Ⅰ)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과 범위

제2장 오염제로 사회를 위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관리 정책의 이해
1. 국외 정책
2. 국내 정책

제3장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SSC) 정책 추진 사례
1. 국외 사례
2. 국내 사례

제4장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정책 및 기술 격차 매핑
1. 화학물질에 대한 지속가능성 평가 사례 조사
2. 산업계 현황 파악을 위한 시범 분석
3. 정책 인식 및 수요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4. 정책 도입을 위한 현황 진단 결과(정책 추진 가능성 및 한계점)

제5장 한국형 SSC 추진 방향 설정
1. SSC 적용을 위한 관련 분야 및 기술 범주
2. SSC 적용을 위한 관련 법령 및 제도 범위
제6장 연구 결론 및 후속 연구 계획
1. 연구 결과 종합
2. 후속 연구 계획

참고문헌

부 록
Ⅰ. 대국민 설문조사지
Ⅱ. 전문가 설문조사지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기후위기 및 팬데믹 발생 등 급격한 환경 및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EU를 중심으로 안전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담보하기 위해 화학물질 및 오염관리 체계가 전환되고 있음
ㅇ 이에 국내에서도 급격한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SSC: Safe and Sustainable Chemicals) 관리체계를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개선된 화학물질 관리와 매체별 오염 저감 정책의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ㅇ 1차 연도 연구에서는 SSC 관련 정책과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관련 정책의 추진 방향과 적용 대상을 살펴보고자 함

Ⅱ. 오염제로 사회를 위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관리 정책 현황
o 국외 정책 현황
ㅇ EU 그린딜(Green Deal)의 경우 오염제로(Zero Pollution)를 핵심 목표로 선정하고 화학물질 관리, 산업 시설 및 배출 관리와 매체별 오염 관리를 위한 세부 전략 및 연도별 이행 사항을 수립함
ㅇ 특히 EU는 화학물질 분야의 그린딜을 추진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전략을 별도로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음

o 국내 정책 현황
ㅇ 한국판 뉴딜 2.0에서 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내용은 일부 사업에 단편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화학물질 및 오염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별도의 전략은 존재하지 않음
ㅇ 녹색화학의 경우 o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o상 녹색화학 기술 개발에 관한 근거 조항이 존재하고 환경부의 업무계획에 관련 사업이 포함되어 추진된 바 있음
ㅇ 최근에는 녹색화학 관련 사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의 추진 방향을 설정하려는 준비 작업이 진행 중임

Ⅲ.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관리 정책 추진 사례
o 국외 정책 추진 사례
ㅇ 그린딜에 연계한 정책 사례로는 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수소 에너지 도입과 수소 경제 정책이 대표적임
ㅇ 화학물질 관련 정책 사례로는 미국의 녹색화학 관련 정책, 독일의 지속가능한 화학 정책, EU오염제로(Zero Pollution Ambition)에 의거한 SSC 설계 관련 기초 연구와 그를 통해 마련된 설계 및 평가 체계(안) 수립 사례가 대표적임

o 국내 정책 추진 사례
ㅇ 탄소중립 및 그린뉴딜 이행 차원에서는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각종 지원 시책과 연구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다수 기업에서 기업 경영 이념 및 목표와 연계한 탄소중립 선언과 ESG 경영 방침 적용 등의 사례가 있음
ㅇ SSC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사례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2015년 수행한 기술 개발 연구임. 이 연구에서는 대체물질 기술 개발, 관련 물질 정보 DB 구축, 녹색화학에 부합하는 화학물질 평가 기법 및 인식 제고 방안 등이 연구된 바 있음

Ⅳ.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정책 및 기술 격차 매핑
o 지속가능성 차원에서의 평가 관련 선행 연구 사례
ㅇ SSC 관리 체계 도입을 위한 현황 진단을 위하여 선행하여 연구된 평가 관련 사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독일 연방 환경청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평가를 위한 방법론 및 평가 요소를 활용한 시범 분석을 통해 정책 도입 가능성과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함

o 국내 기업 현황 파악을 위한 시범 분석 결과
ㅇ 국내 4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