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시연구
사업보고서 위성영상기반 북한 주요지역토지피복 현황 및 토지피복도 구축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 내용과 방법 및 수행 체계

제2장 남북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통일화 및 북한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선정
1. 남북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통일화
2. 북한 수치지형도 기반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선정

제3장 중분류 토지피복도 시범 구축
1. 구축 공정
2. 중분류 토지피복도 시범 구축 결과

제4장 중분류 토지피복도 기반 개발 압력 높은 지역 분석
1. 토지적성평가 방법 준용 분석
2. 전문가 선정 평가항목 및 가중치 적용 분석
3. 개발 압력 높은 지역 분석 결과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 개요
o 연구 배경
ㅇ북한은 외화 획득의 주요 수단으로서 라선경제무역지대를 지정하여 외자 유치를 도모하고,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개발을 통해 관광부문을 육성하는 등 적극적인 국토개발을 계획

o 연구 필요성
ㅇ지속가능한 한반도 국토환경 관리 및 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북한지역 개발 현황, 산림면적 변화 등 환경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북한지역 공간정보가 필수
ㅇ현재 북한 관련 자료는 기관별로 다양하게 구축되고 있으나 산림, 농경지 등 특정 지역 위주로 구축되어 있거나,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로 구축되어 있어 분석·활용에 한계가 있음

o 연구 목적
ㅇ한반도 종합적인 국토 및 환경계획을 위한 북한지역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및 기준, 분류방안을 마련
ㅇ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라선경제무역지대 및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피복도를 시범 구축하여 북한지역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
ㅇ수치표고모델(DEM), 주요 도로, 시가화·건조지역 등 전제 조건을 토대로 북한의 개발계획 정보 등을 종합하여 두 지역에 대한 개발 압력이 높은 지역을 분석
o 연구 공간적 범위
ㅇ북한 중분류 토지피복도 구축의 공간적 범위는 라선경제무역지대 16도엽(축척 1:25,000),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36도엽(축척 1:25,000)

Ⅱ. 연구 내용
o 남북한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통일화
ㅇ환경부의 o토지피복지도 작성 지침o 중분류 토지피복도 분류체계에 따라 북한지역의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마련

o 북한 수치지형도 기반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선정
ㅇ국토지리정보원(2016, 2018)의 ‘북한지역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최신 위성영상(SPOT 6/7, 1.5m 공간해상도)을 기반으로 토지피복도 22개 분류항목 선정

o 북한 라선경제무역지대,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대상 중분류 토지피복도 시범 구축
ㅇ최신 위성영상(SPOT 6/7, 1.5m 공간해상도)을 활용하여,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22개 분류항목)에 따라 라선경제무역지대 16도엽 및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개발계획지역) 일대 시범 구축

o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바탕으로 개발 압력이 높은 지역 분석
ㅇ전제 조건(DEM, 주요 도로, 나지, 초지 및 시가화·건조지역 등)을 토대로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및 북한의 개발계획 정보 등을 종합하여 라선경제무역지대 및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에서 개발 압력이 높은 지역 분석
Ⅲ. 결론
o 향후 남북한 토지피복지도 연계 분석 및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적용
ㅇ남북한 토지피복 데이터 통합 및 일관성 확보를 위해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22개 분류항목을 유지
ㅇ토지피복도 분류항목의 색상 및 형상을 국내 토지피복지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선정

o 토지피복도 분류 시 특이 사항은 추가 정보를 구축하여 활용도 제고
ㅇ22개 분류항목 외에 추가 정보(비포장 도로, 철도, 항만, 방조제, 무입목지, 산간나지, 개간산지, 역사명, 공장명 등)를 구축

o 중분류 토지피복도(라선경제무역지대,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52도엽 시범 구축
ㅇ라선경제무역지대 16도엽(축척 1:25,000) 면적 약 2,292km2,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36도엽(축척 1:25,000) 면적 약 5,417km2 시범 구축

o전제 조건(DEM, 주요 도로, 나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