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시연구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산업단지 개발사업 현황과 환경변화 분석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제2장 국내 산업입지정책 및 산업단지의 개발
1. 산업입지정책 및 산업단지의 개발
2. 산업단지 조성 현황

제3장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 현황
1. 환경영향평가 협의 현황
2. 지자체별 산업단지 개발 현황
3. 산업단지 유형별 개발 현황

제4장 산업단지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
1. 대기오염 물질 배출 현황
2.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따른 산림 훼손
3.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입지 특성 변화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o 산업단지는 국가 산업 발전과 경제성장, 지역 경제성장의 거점 및 국토 균형 발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산업화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의 산업화에도 큰 기여를 하였음(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9, p.2). 그러나 한편으로는 제조업 관련 산업시설의 집적지로서 시설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변 지역 및 국내 환경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일반적인 산업단지 개발사업은 대단위 면적 사업으로, 조성 계획 단계에서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개발 위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면 귀중한 환경자원을 훼손할 개연성이 커짐
ㅇ 또한 조성 당시에는 도심 교외지역에 위치했던 산업단지가 기존 도심지역의 팽창 또는 교외지역의 도시화에 따라 주거지역 등과 연접하게 되는 상황이 되고, 분양의 용이성과 인력 수급, 교통의 용이성 등의 이유로 주거지와 인접한 곳에 개발됨에 따라 주변 지역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역시 커지고 있음
o 이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간 산업단지와 환경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산업단지로 인한 오염 매체별 영향 정도, 환경관리 체계 등에 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며(이은엽, 김정곤, 이현주, 2012, p.3), 국내 전반에 걸쳐 산업단지로 인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임
2. 연구 목적
o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걸쳐 이루어진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적·사회적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함

Ⅱ. 연구 방법 및 범위
o 200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에 등록·협의된 총 530건의 산업단지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연도별·지역별 협의 현황과 내용을 조사하였음
ㅇ 지자체별 산업단지 개발 현황, 개발사업별 산업단지의 유형 및 조성면적, 사업 대상지에 대한 개발 전 식생보전등급 현황, 개발 후 운영 시 PM10 및 PM2.5, NO2, SO2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량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개발로 야기되는 환경적 영향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음
ㅇ 또한 산업단지의 영향 대상 지역 내 주요 영향 예상 시설 분포 현황 및 노출 인구에 대한 시계열적 고찰을 통해 산업단지의 입지 경향을 파악하였음

Ⅲ. 연구 결과
o 연구 대상 기간 내 국내 산업단지의 개발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며 주요 개발지역은 경기, 경상 및 충청지역으로 나타남. 산업단지의 유형별 개발 현황의 경우 일반산업단지가 전체 개발사업의 82%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농공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국가산업단지 순으로 개발이 추진됨
ㅇ 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전남·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주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일반산업단지는 경기 및 경남·충북지역을 대상으로 주로 개발이 추진됨.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경우 수도권인 경기지역에 집중적으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농공단지는 전북과 전남에서 주로 개발이 추진됨
o 개발계획 추진의 감소에 따라 산업단지의 운영으로 인한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그러나 산업단지당 평균 대기오염 물질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