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후환경정책연구 Data Science 기반 기후변화 대응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 마련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

제2장 유관기관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조사
1. 기후변화 감시예측 부문
2. 농·축산업 부문
3. 재난·재해 부문
4. 건강·보건 부문

제3장 원내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및 고도화
1. 원내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2. 원내 기후환경 데이터 고도화 방안

제4장 연구데이터 관리 개요 및 현황
1. 연구데이터 개요
2. 연구데이터 관리의 필요성
3. 연구데이터 관리 계획 및 규정 검토
4. 주요 기관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 인터뷰
5. 소결

제5장 KEI 기후환경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1. KEI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과정
2. KEI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TF 결과
3. KEI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4. KEI형 데이터 관리 체계 초안 구축
5. KEI 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체계 구축 방향
6. 소결

제6장 KEI 데이터 플랫폼 구성
1. KEI형 환경 데이터 허브 구축
2. KEI형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시스템 구축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 요약
2. 연구성과 활용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부문별 원내외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Ⅱ. 연구데이터 관리 사전 인터뷰
Ⅲ. 설문지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o 연구 배경 및 목적
ㅇ 최근 해외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한 Data Science로의 전환을 시행하고 있음
- Data Science는 데이터를 통해 실제 현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속에 담긴 패턴 및 신호를 찾는 것 등을 아우르는 것
ㅇ 기후변화 관련 연구는 온실가스 ‘감축’을 통하여 기후변화 발생을 저감시키는 연구와 기존 배출된 온실가스에 의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적응’으로 나누어짐
- 기후변화의 원인이 단일하지 않고 복합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의 세부 분야는 다양하게 구분되어 있음
ㅇ 본 연구는 Data Science와 기후변화 ‘대응’ 연구를 KEI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o 연구 범위
ㅇ 대내외적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기후환경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 확산을 위한 Open Science 기반 ‘KEI 데이터 플랫폼’ 중 기후변화 부문 구축에 대한 기본 연구
ㅇ2019년 KEI에서 수행된 데이터 기반 환경정책 추진을 위한 중장기로드맵 수립 TF(Task Force)의 결과 중 ‘KEI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연구
o 연구 방법
ㅇ 본 연구는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기후환경 데이터를 KEI가 보유한 데이터와 연계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임. 이에 KEI 기후환경 데이터와 공공기관 기후환경 데이터 연계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KEI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생산 및 활용 등 전 과정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검토함
ㅇ KEI 기후환경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KEI 기후환경 데이터 적용 가이드라인 을 구성하고 기후변화 관련 현재 KEI,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 및 향후 생산되는 데이터의 생성·활용·공유 등에 대한 효율적 방안을 수립하였음

Ⅱ. 유관기관 기후환경 데이터 현황 조사
1. 기후변화 감시예측 부문
o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영향 및 전망·예측 데이터는 다양한 부문과 융합분석·활용이 가능함
ㅇ 기상청은 농업, 방재, 보건, 산림, 생태 등 부문별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 국립기상과학원 및 APEC기후센터에서는 기상자원지도, 이상기후감시 등 관련 데이터를 생산·제공 중
2. 농·축산업 부문
o 기후변화로 인한 농축산 부문의 피해 저감 및 대응을 위해 농촌진흥청 소속·산하기관과 지자체 등에서 농축산 맞춤형 데이터를 생산·제공함
ㅇ 과수·작물별 미래 재배적지 데이터, 농업기상정보 및 가축별 미래 더위지수 분포도 등을 제공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예측과 대응에 활용 가능토록 함
3. 재난·재해 부문
o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로부터 안전 확보 및 즉각적 대응을 위해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환경부 등에서 부문별 피해 데이터 및 위험·취약지도를 제공함
ㅇ 재해정보지도, 침수가뭄급경사지, 가뭄취약지도, 산불위험·취약지도 등을 통해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피해 예방·경감과 재난재해 대응관련 정책수립 시 활용 가능함
4. 건강·보건 부문
o 기후변화는 폭염 및 대기오염 문제를 심화시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며, 이를 대응·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상청, 환경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제공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