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Ⅱ)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및 목적

제2장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영향
1.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현황
2. 미세플라스틱의 영향 분석

제3장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 방법론
1. 위해성 평가 기법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2. 위해성 평가를 위한 국내 기초 자료 분석 및 검토
3. 미세플라스틱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

제4장 1차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동향과 정책 수요 조사
1. 1차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동향
2. 1차 미세플라스틱의 기술 동향
3. 정책 설계를 위한 대국민 설문조사

제5장 2차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방안: 미세섬유와 양식용 부표를 중심으로
1. 미세섬유 발생량 추정 및 저감 방안
2. 양식용 부표의 관리 방안
제6장 미세플라스틱 정보 플랫폼의 기본 설계와 시범 DB 개발
1. 미세플라스틱 정보 플랫폼의 기본 설계
2. 연구 및 정책 DB의 시범 개발
3. 개발 의의와 활용 가치

제7장 종합 결론 및 후속 연구 계획
1. 종합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 후속 연구 계획

참고문헌

부 록
Ⅰ. 미세플라스틱 이해도 및 정책 인식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지
Ⅱ. 세탁습관 및 사용행동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지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ㅇ플라스틱의 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범위는 폭넓어 미세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한 영향이 증가할 우려가 있음
ㅇ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와 국가 R&D 사업 투자 등이 증가하고 있으나 영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함. 관련 연구를 종합·분석하는 빅데이터 연구가 필요하며, 미세플라스틱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위해성 평가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ㅇ세계 몇몇 국가에서 1차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규제가 시행 중이나 일부 제품군, 마이크로비즈에 한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정책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고려한 발생원 및 제품군별 미세플라스틱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o2020년(2차 연도)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
ㅇ미세플라스틱 관련 기초 현황 조사의 업데이트 및 위해성 평가 방법론 검토, 2차 미세플라스틱 주요 발생원에 대한 관리 현황 검토
-환경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환경오염 관련 최신 연구 결과 분석
-건강피해 현황 파악을 위한 노출 및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 방법론 검토
-1차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국내외 규제 및 기술 동향 분석과 정책 제언
-2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방안 고찰: 양식용 부표 및 미세섬유 발생량 추정 방법론 검토
-미세플라스틱 연구 및 정책 DB 시범 개발과 정보 플랫폼 기본 설계

Ⅱ.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매체별 환경오염 연구 분석
o해양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다수 있지만, 미세플라스틱 총량이 어느 수준인지 지역별 또는 공간별로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 사례는 여전히 부족함
ㅇ최근 해수층 샘플링 도구 및 방법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는 연구가 일부 진행됨
ㅇ해안 식생대를 중심으로 식생의 수관층과 퇴적물, 또는 해수층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됨
o육상 지역은 담수 중 호수, 하천, 폐수처리장 등을 중심으로 표층수(폐수처리장의 경우 유입 및 처리수)와 퇴적물(폐수처리장의 경우 슬러지)에 대한 연구 사례가 축적되고 있으며, 농업용 토양에 대한 연구도 다수 진행 중임
ㅇ육상 담수는 인간 간섭의 정도, 토지이용 등의 영향을 받아 담수 및 퇴적물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에서 차이를 보임
ㅇ폭우, 홍수 등과 같은 강우 이벤트가 미세플라스틱 이동과 축적, 오염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일부 진행됨
ㅇ토양에 대한 연구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농업용 토양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음. 농업용 토양의 경우 폐수처리장의 슬러지를 재활용한 비료 사용으로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이 저장될 수 있음이 논의되고 있음
ㅇ대기 부문에 대한 연구 사례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최근 도로 분진에 함유된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분석하여 타이어에서 유래한 미세플라스틱이 도심과 도로 먼지 속에 다수 존재함을 확인한 사례가 있음

Ⅲ. 미세플라스틱 영향 분석
o미세플라스틱 독성 및 영향 관련 최신 연구 동향
ㅇ미세플라스틱 및 기타 관심 화학물질과의 혼합 독성을 고려한 연구가 시작됨
-미세플라스틱과 의약품 및 개인위생용품, 중금속, 프탈레이트 등과의 혼합 독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됨
ㅇ인체 영향 관련 연구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