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감염성 질병예방을 위한 질병-생태 통합평가시스템 구축 종합연구(II)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내용 및 수행체계

제2장 야생동물 매개 질병의 국내 유입·확산 현황: 조류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1. 조류인플루엔자 역학 및 연구 현황
2. 국내 유입: 야생조류 서식지 적합성 및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연관성에 대한 고찰
3. 국내 확산: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축산차량 이동을 통한 확산
4.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국가대응 연구추진 현황

제3장 질병 매개 생물의 국내 유입 전망체계 기반 마련
1.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월동조류의 생물계절학적 이동 패턴 분석
2.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증의 시공간적 경향 파악
3. 국내 월동조류의 지리적 기원 추정 시범 적용

제4장 생물다양성 및 자연생태 기반 국내 확산 대비체계 기반 마련
1. 토지이용 변화와 생물다양성 변화, 인수공통감염병의 관계
2. 도시생태계의 특징
3. 감염위험 저감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4. 감염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5. 인수공통감염병 발생에 대한 논리모형 구성
6. 인수공통감염병을 고려한 도시계획 기법 도출 예시 및 향후 연구방향

제5장 질병-생태 통합평가를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체계 구축
1. 생물다양성 기반의 질병-생태 통합평가 방안: 조류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2. 생물다양성 평가기반 마련을 위한 유전정보 기반의 계통도 완성
3. 질병-생태 통합평가 기반: 어류·양서류·파충류의 계통적 다양성 평가
4. 질병-생태 통합평가를 위한 생물다양성지표평가센터(안) 플랫폼 구축 및 활용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조류위치추적 기반의 예찰활동 현황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o 야생생물을 매개로 한 감염성 질병의 국내 유입은 지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전략은 빠르게 수립되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은 다소 미흡한 수준임

o 야생생물을 매개로 하는 감염성 질병에는 크게 2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ㅇ 질병으로 인한 인체의 건강 훼손과 자산으로서 사육 동물에 대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마련해야 함
ㅇ 야생생물 매개 감염성 질병에 따른 생태계 자체의 건강성을 유지하도록 정책을 전환해야 함

2. 연구 목적
o 감염성 질병예방을 위한 질병-생태 통합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 연구로서 조류인플루엔자 사례를 중심으로 유입-확산-대응 정책을 수립하도록 생물다양성 및 생태 기반 체계 수립에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수행함
ㅇ 질병의 대상이 되는 철새도래지, 가금시설 등의 공간적 정보를 활용하여 생물다양성 및 토지피복 변화 등을 바탕으로 질병 확산 전망체계 마련에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함
ㅇ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생물다양성 및 자연생태 기반 국내 확산 대비체계를 마련하고자 생물다양성 평가체계 및 지수를 개발하고 통합평가시스템 기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Ⅱ. 야생동물 매개 질병의 국내 유입·확산 현황: 조류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o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공중보건적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가금에서 유행하는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파와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발생 가능성이 높은 농장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철저히 하여 생산 단계 발생을 최소화하여 인체 전파를 막는 것이 최선임
ㅇ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사례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높은 치명률 이외에 코로나19 발생과 같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ㅇ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은 1996년 3월 18일 H9N2 LPAI가 최초로 보고되었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HPAI는 2003년 12월 10일 이후 2022년 4월 7일까지 총 10차례 3가지 혈청형(H5N1, H5N8, H5N6) 1,196건이 발생함

o 가금농장에서 HPAI 발생경로는 크게 야생조류 관련, 사람 및 차량 이동, 감염된 가금 이동, 인근 전파, 생축시장 등으로 구분함(그림 1 참조)
ㅇ 야생조류의 HPAI 발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금 발생의 주요 감염경로로 추정됨. 우선 공간적으로 야생조류에서 HPAI 항원 또는 H5 항체가 검출된 지역이 가금농장의 HPAI 발생 분포와 유사하게 주로 서남해안 지역에 위치함
ㅇ 농장 주변 감염된 야생조류에 접근하여 농장 내부로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발생을 줄이는 중요한 방법임
ㅇ 국내에서는 가금농장 약 7,300개소에서 오리, 닭, 축산물(달걀 등)을 생산하며, 과도하게 밀집 연결된 가금농장 간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농장 간 HPAI 전파는 사람 및 차량에 의해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임
- 최근 축산차량에 따른 전파 연구에서 HPAI 발생의 약 21%를 축산차량에 따른 전파로 추정한 바 있으며, 2014년 발생한 HPAI에 대한 공간분석연구에서 타 시도로 이동한 축산차량의 HPAI 발생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됨

o 국내 HPAI의 농장 간 전파의 주요 경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