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수탁보고서 산업계 적응대책 수립ㆍ이행 지원 및 컨설팅 지원

제1장 사업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CRAS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예비분석
1. CRAS시스템의 리스크 모니터링 모델 구성
가. CRAS시스템과 리스크 모니터링 모델의 구성
나. 리스크 모니터링 모델의 프레임워크
2. CRAS RBM 세부 설계(안)
가. 리스크 매트릭스 식별(1단계)
나. 리스크 간격의 평가(2단계)
다. 핵심리스크지표 설정 및 측정항목 선택
라. 리스크 신호 레벨 선정
마. 리스크 대시보드 식별

제3장 업종별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마련
1.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구성 및 현황
가.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의 구성
나. 국내·외 건설업 적응 매뉴얼 현황
다. 국내·외 운송업 적응 매뉴얼 현황
2.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제작·배포
가. 건설업 부문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나. 운송업 부문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제4장 민간기업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사업
1. 맞춤형 컨설팅 대상 기업 모집 및 수요분석
가. 맞춤형 컨설팅 개요 및 절차
나. 맞춤형 컨설팅 모집 선정 및 범위
2. 맞춤형 컨설팅 사업 운영 결과
가. 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마련
나. 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업무협약식 운영
다. 제5차 기후적응 리스크 관리 실무교육과정 운영
라. 제1회 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포럼 개최
마. 민간부문 기후변화 적응 인식 설문조사
바. 맞춤형 컨설팅 만족도 설문조사 요약
3. 맞춤형 컨설팅 사업의 이슈 및 제언

제5장 결 론
1. 결론 및 시사점
2. 향후 사업추진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맞춤형 컨설팅 만족도 설문조사
부록 2. 건설업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부록 3. 운송업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기후변화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에 대한 논의는 과거 정부 주도의 물리적인 시설에 대한 관리 중심에서 민간 주체들의 지역적 지식과 정보를 활용한 위험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 역할의 분담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다(고재경 외, 2015). 기후변화에 내재하고 있는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국가 차원을 넘어 산업계의 직접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CDP의 응답 기업 중 97%가 기후변화를 기업의 사업전략에 통합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중 96%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정책의 촉진을 위해 정책입안자들과의 참여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CDP Korea, 2017). 이렇듯 민간부문의 기업들은 이미 다양한 비즈니스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경영진과 의사결정권자가 고려해야 할 새로운 과제이다. 세계 경제 포럼의 기후 프로젝트는 부문 간 공공-민간의 네트워크가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여야 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선도적인 CEO들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민간부문의 추진력을 유지, 해결 방안을 확대하는 등 인도적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Climate Initiative website). 이는 기업의 최고경영자나 임원진, 투자결정자 등 의사결정권자 단위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관심과 의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민간부문의 노력은 대기업이나 재정적 확보가 이루어진 기업을 중심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부족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의 한계로 다가온다(World Resources Institute blog, 2013). 이에 기후변화가 내재하고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투자 결정, 사업계획의 변경, 기후변화 관점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과학적, 학술적 정보 제공의 부재와 함께 잠재적 리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경쟁력, 전문 인력 등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시장의 확대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민간기업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정보와 리스크 관리의 편의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향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며(김동현, 2016), 컨설팅 시장의 확대 요구에 따라 정부 정책적 관점에서의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 본 사업은 이러한 민간기업의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강화하고 자발적인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을 수행하였다.
먼저, CRAS시스템(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System)의 세부진단도구로 리스크 모니터링 모델(Risk Based Monitoring Model)의 예비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CRAS시스템의 분석결과를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세부진단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도구로서,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분석 단위의 세분화(10년 평균, 연별, 월별)와 핵심리스크지표(KRI, Key Risk Indicators)를 활용한 조기경보로 감시, 주의, 경고에 해당하는 리스크 등급과 대시보드를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실질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17년도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본 사업에서는 기후 민감 산업을 대상으로 건설업과 운송업의 참여기업 16개를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