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환경기반시설 사업·투자의 타당성·효과성 평가사업(I)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추진 구조

제2장 물 서비스(인프라) 사업·투자 구조 분석
1. 환경기반시설 서비스의 지속가능성
2. 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투자 구조
가. 물 인프라 서비스의 가치(편익)
나. 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투자 구조
3. 물 서비스 분야의 현안, 미래전망 및 정책과제
가. 물 서비스(상하수도) 부문 현안과 정책과제
나. 물 서비스(상하수도) 부문의 변화(미래전망)와 이슈
4. 물 서비스(상하수도) 부문 투자 타당성·효과성 평가의 필요성과 활용

제3장 인프라 투자 타당성평가체계 사례 분석
1. 인프라 투자 관련 국제적 이슈
2. 투자평가체계 사례
가. 지자체 자체감사 프로그램과 정부회계기준 제시를 통한 자산관리시스템
나. 영국 수도산업 자산관리평가
다. ISO 상하수도 자산관리 표준
라. 시설재투자 수요평가
마. R(rehabilitate)-사업의 타당성분석
바. 상하수도 성능평가 프로그램
3. 자산관리와 최적 투자계획
가. 자산관리 개념에 따른 최적 투자계획
나. 자산관리 개념에 따른 최적 투자계획 사례
[첨부] 영국 수도사업 자산관리평가(예시)

제4장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의 타당성·효과성 평가체계
1.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의 타당성·효과성 평가의 필요성
가. 투자 타당성평가체계
나. 투자 타당성평가 항목
다. 사업의 투자 타당성평가
라. 재정투자효율성·효과성 평가
2. 상하수도 인프라 자산 장애가능성·비용 평가
가. 장애가능성 평가 o Scoring 방법
나. 자산 장애비용 평가 예시
다. 생애주기비용에 따른 타당성평가의 예

제5장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의 타당성·효과성 평가체계 실행의 과제 및 활용
1. 평가체계의 활용
가. 상하수도 노후시설 개보수사업의 타당성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
나.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위한 시설 및 (재)투자 기준
다. 상하수도 인프라 노후시설 재투자에 대한 재정지원 구조와 우선순위 기준
2. 평가체계 적용의 과제
3. 평가체계 적용과 재정정책
4. 평가체계 적용의 기구적 구조
5. 평가체계 적용 기반 조사
가. 하수처리시설 개선 수요 및 계획 분석
나. 상하수도사업 재정운영과 재정계획 구조와 문제점
다. 상하수도사업 자산관리 적용 기반과 사례
라. 상하수도 자산관리 지침 및 자료 현황

제6장 요약 및 추후 연구계획
1. 요약
2. 추후 연구계획

부록
Ⅰ. 투자사업 타당성평가 o 연구와 지침 사례
Ⅱ. 물 서비스의 편익과 타당성평가
Ⅱ-1. 물 서비스의 편익
Ⅱ-2. 물 환경 서비스의 투자 타당성평가
Ⅲ. 물 환경정책과 인프라 투자
Ⅲ-1. 물 환경정책의 변화와 발전
Ⅲ-2. 정책과 투자 의사결정 사례
Ⅳ. 자산평가 및 자산관리
Ⅳ-1. 자산관리 o 장애가능성 및 장애비용 도출
Ⅳ-2. ISO 상하수도시설 자산관리 표준
Ⅳ-3. 상하수도시설 성능평가 프로그램
Ⅴ. 우리나라 상하수도사업평가제도

Abst
상하수도사업은 필수적 서비스 혹은 공공재적 서비스의 공급을 위한 사업으로서, 투자 타당성 및 효과성 평가가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계획 및 재정투입이 이루어졌으며, 국가재정이 투입된 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도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하수도사업의 경우 자산관리 및 전략적 재정체계 구축 미비로 노후화된 시설에 대한 재투자 등 시설 투자·관리계획의 적정성 및 재정 지속가능성이 담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기반시설 사업·투자의 타당성, 효과성을 평가하는 체계를 정립하고 시설·사업 분야별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투자전략 및 관련된 국가정책과 재정투자를 효율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하며, 1차연도 연구로서 환경기반시설(상하수도 중심) 사업·투자의 타당성, 효과성을 평가하는 체계를 정립하고 투자 타당성·효과성 평가체계 적용을 위한 실행 계획을 제시하였다.

o 국내 물 서비스 사업·투자 구조 분석
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투자 구조와 물 서비스 분야의 현안, 미래전망 및 정책과제를 분석하고, 투자 타당성·효과성 평가의 필요성과 활용방향을 도출하였다.
물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사업은 필수적인 공익사업으로 공공 주도의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하수도사업은 지자체가 사업자로서 계획하고 공급하며, 국가는 서비스에 대한 국가목표 및 정책적 기준을 설정하여 추진한다. 공익사업의 특성상 사회적·환경적 변화에 따른 서비스 수요변화는 시장에서 그 가치변화가 반영되기는 어려우므로 사업주체인 공공이 계획과 정책목표에 이를 반영하도록 노력한다. 국가는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정책적 지원과 사업에 대한 관리를 통해 서비스의 효율적·합리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지금까지(1996~2015) 상하수도 서비스 공급의 정책적 목표 설정과,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자의 재정투입 및 국가지원계획과 그 이행실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국가재정지원체계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상하수도 부문은 물의 합리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공익 서비스의 효과적 공급이라는 기본적 과제에 더해서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여러 과제에 직면하여 있다. 상하수도 인프라시설의 노후화로 시설 재투자수요가 나타나고 있으나 상하수도사업의 재정적 건전성 취약과 자산관리 미비 등으로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어 효율적 투자 및 재정운영을 통한 서비스 지속가능성 제고의 필요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환경적인 변화로 새로운 공공 서비스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생기고 있는 것도 당면한 정책과제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하수도사업 범위는 도시침수 등으로 인한 재난방지 서비스의 범위로 확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방재, 우수 서비스 등의 새로운 공공 서비스를 위한 투자와 재정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악취방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등 사회적으로 선호되는 서비스와 가치의 변화를 반영한 정책목표 설정과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투자의 타당성과 효과성은 서비스 공급을 위한 합리적인 비용과 그 부담을 통해 서비스 수요와 공급의 합리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며, 효과성에 기반하여 투자수요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사업의 전략적 재정과 재정지원체계의 효과적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