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초연구 Smart waste 및 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주민참여형 애플리케이션 활용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수행체계 및 주요내용

제2장 자원순환 및 환경정보 활용 사례
1. 선행연구 사례
2. 자원순환 및 환경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현황
3. 스마트 정보통신을 활용한 환경활동 참여 사례

제3장 애플리케이션·웹사이트 사용자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결과

제4장 Waste를 Smart waste로
1. 스마트 도시폐기물 관리 사례
2. 웹사이트 기반 플랫폼 연계 애플리케이션 운영 방식
3. 위치기반 실시간 정보 제공형 대시보드 운영 사례(영국)
4. 폐기물 관련 빅데이터 구축형 대시보드 운영 사례(미국)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애플리케이션·웹서비스 활용성 확대 방안
2. 주민참여 확대를 위한 제언
3. 애플리케이션 개발 콘텐츠 및 빅데이터 연계 운영 방안
4. 환경정보 제공형 대시보드의 구축 및 연계 방안

참고문헌

부록. 환경정보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 활용 실태 조사 설문지

Abstract
기존의 단순 폐기 처리되던 폐기물인 waste는 스마트 정보통신의 활용으로 위치나 다양한 특성 정보를 부여받음으로써 ‘Smart waste’로 전환되어 관리될 수 있다. Smart waste로의 전환으로 폐자원들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자원순환 문화 조성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 및 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향을 분석하고,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 사용자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시간 빅데이터 구축을 활용한 공공기관 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 주민 참여 및 애플리케이션·웹사이트 활용성 확대 방안을 검토하였다. 다양한 환경정보의 제공과 주민들의 참여확대는 환경정책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연구에서는 ① 폐기물 관리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활용 연구, 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환경정보와 개선 방안 연구, ③ 애플리케이션 실제 활용도 조사 연구 ④ 정보의 제공과 이로 인한 사용자 행동변화 연구, ⑤ 사용자 맞춤형 정보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스마트 정보통신을 이용한 환경정보 활용 사례는 자원순환 또는 환경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사례, 환경활동 주민참여 사례 등으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① 정보제공형, ② 민원해결형, ③ 인센티브형, ④ 창작활동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주민참여 활동으로는 ①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캠페인, ② 우리 동네의 환경문제 찾기, ③ 사물인터넷 활용 분리수거함의 이용, ④ 인공지능 활용 쓰레기통의 이용에 대하여 각각 사례를 분석하였다.
환경정보 활용에 관한 사용자 분석을 위하여 150인을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니콤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환경정보의 특성을 감안하여 총 5가지 측면(유용성, 사용성, 가치성, 접근성, 검색성)의 평가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환경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받고 싶은 분야 및 분야별(자원순환·수질·대기질)로 제공받고 싶은 콘텐츠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3%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웹사이트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사용자 경험 평가에서 88.7%가 유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78.9%가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70.4%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0.3%가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접근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의사에 대해서는 84.5%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기존에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의 가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환경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의 미활용자(전체 응답자의 52.7%)의 86.1%는 서비스 제공 사실을 몰라서 활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향후 제공받고 싶은 애플리케이션 환경정보로 대기질(62.7%), 자원순환(19.3%), 수질(14.7%) 분야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웹사이트 환경정보로 대기질(48.0%), 자원순환(24.0%), 수질(22.7%) 분야의 순으로 제공받기를 원했다. 이러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