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본연구 환경영향평가서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위해성 평가 개선 연구

제1장 서 론
1. 배경 및 목적
2. 내용 및 절차

제2장 환경영향평가서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위해성 평가
1. 환경영향평가서 내 위생·공중보건 항목 작성
2.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위해성 평가
3. 시사점

제3장 수용체 중심의 매체 통합적 위해성 평가
1. 개념 정립 및 적용
가. 수용체 분포를 강조한 노출평가
나. 매체 통합적인 위해성 평가
다. 본 연구에서의 개념 및 적용
2. 평가 방법론
가. 수용체 분포 분석 방법론
나. 수용체의 노출 정도를 고려한 위해도 개념 및 기준
다. 누적 위해성 평가 수행 가능 검토 및 향후 방향

제4장 시범적 분석 및 작성 매뉴얼 개선
1. 시범적 분석
가. 분석 대상
나. 대기확산모델(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다. 수용체 분포와 대기확산 분포의 중첩분석
라.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2. 환경부예규 제589호 관련 매뉴얼 개선(안)
가. 매뉴얼 현황
나. 매뉴얼 개선안

제5장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향후 연구 등 제언

참고문헌

부록
Ⅰ. ‘Framework of Cumulative Risk Assessment’ 3장 번역
Ⅱ. AERMOD 구동

Abstract
우리나라의 건강영향평가는 o환경보건법o 제13조에 따라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중 특정 사업에 대해 개발로 인한 건강영향평가 및 저감방안을 마련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개발사업으로 인한 대기질(악취), 수질, 소음·진동의 영향 및 이로 인한 건강 악영향을 개별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개별 저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건강영향평가는 개발사업 주변의 주거 및 활동 인구분포를 감안한 위해성 평가 및 이를 고려한 저감방안 마련 그리고 수용체 중심에서 다양한 매체의 영향을 통합한 영향평가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영향평가서 내 위생·공중보건 항목 평가·작성 시 수용체 중심의 매체 통합적 위해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론적 개선 방안은 수용체 중심의 매체 통합적 위해성 평가에 대한 개념 및 세부 방법론 정립, 시범적 적용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작성 매뉴얼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으로 추진하였다. 본 보고서의 장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은 환경영향평가와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로서의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작성, 위해성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 및 그간 위생·공중보건 항목 평가·작성에서의 위해성 평가와 관련한 개선 요구사항,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제3장은 수용체 중심의 위해성 평가, 매체 통합적 위해성 평가와 관련한 개념을 문헌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개념 및 적용 수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적용을 위한 수용체 분포 분석 방법론, 수용체 노출 정도를 고려한 위해도 개념 및 기준, 그리고 누적 위해성 평가 수행 가능 검토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수용체 중심의 위해성 평가와 관련한 수용체 분포 분석 및 이를 적용한 위해성 평가의 시범적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한 현행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작성 매뉴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국내 건강영향평가 수행 시에 활용되는 위해성 평가의 방법론적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확산에 중심을 둔 위해성 평가에서 주변의 수용체 분포 특성을 고려한 위해성 평가로 개선·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지금까지 매체별로 진행된 건강영향평가에서 수용체 중심의 매체 통합적 위해성 평가로의 시도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환경영향평가서 내 위생·공중보건 항목 평가·작성과 관련한 도구 개발, 이번 연구에서 다룬 톨루엔 및 소음·진동 누적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실증연구와 현행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평가 대상 물질에 대한 누적노출과 관련한 건강영향 문헌조사 및 적용방안을 제언하였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