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수탁보고서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활용 체계 강화(부록)

부록
부록 1. VESTAP 문의 및 건의사항 답변
부록 2. 기후변화 적응 관련 기사 및 최신정보
부록 3. 언론속의 기후변화 적응 주간언론
부록 4. 국내o외 기후변화 적응 이슈리포터
부록 5. H/W 유지보수 결과지
부록 6. S/W 유지보수 결과지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 기후변화 적응정보와 관련된 최근의 이슈는 크게 3가지로서,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며, 둘째,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수요가 지자체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셋째, 제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통하여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활용이 확대될 예정

□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2017년까지 제2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완료되어야 하는 기초지자체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현실적으로 2016년 상반기까지 진행되고 있는 실정임
○2011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광역지자체 담당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각 지자체의 기후변화가 어떤 형태로, 어떠한 영향을 주며, 어떠한 취약성을 나타내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 수립에 활용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에서 현재 웹 기반 취약성 평가지원도구로 변경되었음
○현재 웹 기반으로 기초 및 광역지자체를 아우르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가 개발되어 현업에서 활용 중임
○광역지자체에 대한 지원과 기초지자체에 대한 취약성 평가도구 활용, 해석 등의 지원이 상존하는 현실임

□ 둘째,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이 강화되면서, 현재 한국전력, 한국철도공사 등에서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음
○사회기반시설을 운영하는 공공기관은 단순한 기후노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의 사회기반시설에 최적화된 기후노출 인자를 분석해야 됨
○결국 현재 지자체에 제공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도구로는 한계가 명확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응용기상정보, 기후노출 인자의 분석이 중요한 사항이 됨

□ 셋째, 제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 중 통합정보 제공 및 통합 취약성 평가o리스크 관리의 직o간접적 도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과학적 기후변화 위험관리 체계 마련’ 중 취약성 평가 및 통합정보 제공을 이행하는 도구의 개발 필요
○현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지원도구를 개선하고, 지원도구에 활용되는 적응정보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이를 통하여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각각의 취약성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과학적 근거로 지원하고, 다양한 적응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특히, 기후변화 이슈는 집중호우, 폭염 등 지속적으로 발현되고 있지만, 매년 발현되는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변화하여 발현되는 기후변화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다양한 적응정보를 생산o관리할 필요가 있음
○또한, 지속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슈가 발현되고, 적극적 대응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시점에 합리적인 기후변화 적응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임

나. 필요성
□ 2014년 개발된 기초지자체 지원을 위한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가 광역지자체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