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수탁보고서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활용 체계 강화

제1장 사업 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나. 필요성
2. 사업 내용
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시스템 DB 현행화
나. 現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시스템 안정화 및 개선
다.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홈페이지) 활성화 및 콘텐츠 고도화
3.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현황 분석
가. 국내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나. 국외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시스템 DB 현행화
1. RCP 시나리오(400년 제어적분)를 활용한 VESTAP 통합 DB 구축 및 갱신
가. 기후변화 시나리오(400년 제어적분) DB 추가 구축
나. 400년 및 200년 제어적분 자료 비교
다. 기후변화 시나리오(400년 제어적분) 관련 지표 DB 갱신
라. 메타데이터 DB 구축 및 갱신
2.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원시자료 갱신 및 현행화
가.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원시자료 갱신 및 현행화 개요
나.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원시자료 갱신 및 현행화 방법
다.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원시자료 갱신 및 현행화 결과
3.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VESTAP DB 현행화
가. 행정구역 개편내용 수집 및 현황 분석
나. 행정구역도 편집 및 현행화 방법
다. 행정구역 개편내용을 반영한 현행화 결과
4. 이슈사항에 대한 갱신 및 현행화
가. 이슈사항 개요
나. 이슈사항에 대한 조치 내역
다. 이슈사항에 대한 갱신o현행화 결과

제3장 現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시스템 안정화 및 개선
1.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개선
가.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기능 개선
나.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유지관리
다.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보안강화
2. 광역o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대외활동 및 학술발표
가. 대외활동
나. 학술활동
3.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문의 및 건의사항 응대 현황
가. 광역o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문의 및 건의사항
나. 광역o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문의 및 건의사항 답변 현황

제4장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활성화 및 콘텐츠 고도화
1. 신규 기후변화 적응 콘텐츠 확대 구축
가. 언론 속 기후변화 적응정보 제공
나. 국내o외 기후변화 적응 이슈 정보 제공
다. 기후변화 적응 관련 연구보고서 현황 정보 제공
라. 문헌 메타데이터 DB 갱신 및 구축
마. 기후변화 적응 관련 일정 정보 제공
바. 공공기관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홈페이지 정보 제공
2.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강화
가.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개선
나.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유지관리
다.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 보안강화
3. H/W 및 S/W 시스템 고도화 및 유지보수
가. H/W 및 S/W 유지보수 개요
나. H/W 유지보수
다. S/W 유지보수

제5장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및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1. 광역o기초지자체용 VESTAP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 기후변화 적응정보와 관련된 최근의 이슈는 크게 3가지로서,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며, 둘째,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수요가 지자체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셋째, 제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통하여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활용이 확대될 예정

□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2017년까지 제2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완료되어야 하는 기초지자체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현실적으로 2016년 상반기까지 진행되고 있는 실정임
○2011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광역지자체 담당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각 지자체의 기후변화가 어떤 형태로, 어떠한 영향을 주며, 어떠한 취약성을 나타내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 수립에 활용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에서 현재 웹 기반 취약성 평가지원도구로 변경되었음
○현재 웹 기반으로 기초 및 광역지자체를 아우르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가 개발되어 현업에서 활용 중임
○광역지자체에 대한 지원과 기초지자체에 대한 취약성 평가도구 활용, 해석 등의 지원이 상존하는 현실임

□ 둘째,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이 강화되면서, 현재 한국전력, 한국철도공사 등에서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음
○사회기반시설을 운영하는 공공기관은 단순한 기후노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의 사회기반시설에 최적화된 기후노출 인자를 분석해야 됨
○결국 현재 지자체에 제공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도구로는 한계가 명확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응용기상정보, 기후노출 인자의 분석이 중요한 사항이 됨

□ 셋째, 제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 중 통합정보 제공 및 통합 취약성 평가o리스크 관리의 직o간접적 도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과학적 기후변화 위험관리 체계 마련’ 중 취약성 평가 및 통합정보 제공을 이행하는 도구의 개발 필요
○현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지원도구를 개선하고, 지원도구에 활용되는 적응정보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이를 통하여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각각의 취약성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과학적 근거로 지원하고, 다양한 적응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특히, 기후변화 이슈는 집중호우, 폭염 등 지속적으로 발현되고 있지만, 매년 발현되는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변화하여 발현되는 기후변화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다양한 적응정보를 생산o관리할 필요가 있음
○또한, 지속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슈가 발현되고, 적극적 대응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시점에 합리적인 기후변화 적응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임

나. 필요성
□ 2014년 개발된 기초지자체 지원을 위한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가 광역지자체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