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본연구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 방안(II)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지역자원의 개념과 구성

제2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정책 현황 및 특성
1.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정책 현황 및 특징
2.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자원 관리 사례 분석

제3장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모델 구축과 적용
1. 지역자원 관리모델의 틀 설정
2. 지역자원 관리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3. 종합 분석 및 시사점

제4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전문가 설문조사지-순천만
Ⅱ. 전문가 설문조사지o보성 녹차밭

Abstract
기후변화와 관련한 일련의 연구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역 단위의 계획과 지역사회의 주도적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적응 계획을 개발하여 이를 지역 단위에서 참고하고 활용할 목적에 기반을 둔 기초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자원 간의 영향 관계,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o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문헌 연구 부분으로서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현황 및 특징과 국내o외 사례를 연구하여 향후 적응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지역자원 관리의 해외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우리나라 기초지자체 및 지역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실증적 연구 부분으로서, 전라남도 순천의 순천만, 전라남도 보성의 녹차밭 2개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기후 동인은 ‘해수면 상승’ 및 ‘한파’로 설정하였고, 이들의 시나리오별 차이점과 적응 옵션별 영향 관계 및 이들의 영향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전문가 포커싱 그룹(focusing group) 회의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셋째는 앞의 두 가지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는 부분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결론에 해당한다.
위의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순천만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 인구의 전입량 감소, 관광객/관광 소득의 감소, 생태환경의 악화, 어업 생산량의 감소, 농업 생산량의 감소에 대한 최종 사회o경제적 영향은 단기적으로 농업 생산량과 어업 생산량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순천만의 ‘해수면 상승’은 장기적으로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로 이어져 지역사회의 소득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 관광 계획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피해 저감 효과 비교에서는 호안 및 제방 건설과 같은 구조적이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으로의 접근은 단기적으로는 피해 저감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는 피해 저감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자원에 대한 영향 관계 비교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직접적 피해의 영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직접 피해를 보완하고 이를 저감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파’에 따른 보성 녹차밭의 영향 관계 분석을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 재배 농가 감소, 녹차 생산량 감소, 영농 비용 증가와 같은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o단기적으로는 녹차 생산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장기적으로는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에 미치는 악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성 녹차밭의 사회o경제적 영향 부문 간 비교에서는 재배 농가 감소와 녹차 생산량 감소, 녹차 생산량 감소와 영농 비용 증가 등의 상관 정도가 높기 때문에 연쇄적인 악영향 관계로 해석된다. 적응 옵션의 유형에 따라 변동하는 사회o경제적 부문의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한파로 인한 직접 피해 저감 및 적응 옵션의 설정이 더욱 요구되고, 차나무 회복 저하에 따른 녹차 품질 저하가 전체 영향에 미치는 정도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