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사업보고서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축방안 마련 연구(II)
  • 저자 서양원
  • 연구진 배현주;이상엽;박주영;정다운;오일찬;이소라;정성용;정해관;홍성기;전민형;유경호;임혜숙;간순영
  • 발간일 2023-12-31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수행체계

제2장 코로나19 시기별 국내외 환경 관련 현황 및 영향 분석
1. 코로나19 시기별 관련 현황 분석
2. 코로나19 시기별 환경요인 변화 및 건강영향 분석

제3장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및 인프라 마련
1.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동향 분석
2.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성 요소
3. 환경 분야 팬데믹 대응 수단
4. 환경 분야 팬데믹 대응 정보 구축방안
5. 환경 분야 팬데믹 대응 거버넌스 마련
6. 팬데믹 대응체계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제4장 결론 및 향후 고려사항
1. 연구 요약
2. 향후 고려사항

참고문헌

부 록
Ⅰ. 환경 분야 팬데믹 대비·대응체계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코로나19가 국내외 환경 및 사회경제 전반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면 향후 발생 가능한 또 다른 감염병 팬데믹에 대한 환경 분야의 시의적 대응이 요구됨.
ㅇ 이에 환경 분야별 팬데믹 대응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정책적 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o 연구 목적
ㅇ 팬데믹 시기별 주요 환경 분야(건강, 에너지, 폐기물 등)에 미치는 영향 변화 및 관계에 대한 분석
ㅇ 건강, 에너지, 폐기물 등 주요 환경 분야 대응체계 구축 및 정책 지원 기반 제안

Ⅱ. 코로나19 시기별 국내외 환경 관련 현황 및 영향 분석
o 건강(환경보건) 분야
ㅇ 건강 분야의 경우 1차 연도 연구를 통해 국내외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 증가 및 감소 추이를 추가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를 토대로 팬데믹 시기별로 환경 분야에 따른 중요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또한 환경 분야에 팬데믹이 미치는 긍정적 영향 및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코로나19 시기에 따른 팬데믹 이벤트의 시군구 단위 분포 분석을 통해 관련 현황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함.
- 또한 팬데믹과 환경인자 간 관계 분석을 위하여 코로나19 확진자와 의료폐기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함께 코로나19 확진자와 함께 사망 자료 또한 분석 대상에 추가해 상관관계를 분석함. 초미세먼지로 인한 전체 원인 사망 위험과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간 관계를 2006년에서 2020년까지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때 전체 원인 사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의 경우 전국적으로는 대체로 사망 위험이 낮아졌으나 특정 지역에서는 사망 위험이 높아져 추가적인 분석 및 해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ㅇ 인공지능 기법인 SHAP을 활용하여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시군구 단위로 기상 자료, 대기오염, 건강, 사회경제, 토지 등 기타 환경요인과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이 급증하면 여가시설, 대중교통 정거장은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냄. 반면 생활의 필수 요소인 식료품점과 약국의 이동 추세는 큰 변화가 없으며, 특정 시기에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냄.
-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로 작업장으로의 이동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거주지역의 이동성은 상당히 증가함.
- Stringency Index(정부 대응 엄격성 지수)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관련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한 결과 정규식생지수, 기온,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초미세먼지, 오존 농도순으로 나타남. 기온 및 대기오염 농도(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초미세먼지, 오존)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증가하였고, 정규식생지수 및 Stringecy Index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o 에너지 분야
ㅇ 에너지 미시 분야에서는 1차 연도에 코로나19 발생 이후 에너지 수요 변화와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를 분석함. 코로나19는 생산 및 소비 활동을 감소시켜 에너지 수요에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