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사업보고서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EVIS 구축 지원을 위한 세부 연구과제

요 약

제1장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1. 개요 및 분석범위
2. 생태계 유형별·광역지자체별 탄소흡수·저장량 평가
3.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서비스의 단위가치 추정
4. 탄소흡수·저장 서비스의 가치산정 결과 및 시사점

제2장 생태계 물(담수)생산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1. 개요 및 분석범위
2. 유역별·광역지자체별 물(담수) 생산량 평가
3. 물(담수)의 유역별·광역지자체별·이용별 가치 및 총가치 산정 결과
4. 시사점

제3장 생태계 영양물질(질소·인) 저류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1. 개요 및 분석범위
2. 유역별·광역지자체별 저류 기능 평가
3. 시사점

제4장 한국형 생태계 문화서비스의 개념, 분류체계, 측정방법 검토
1. 개요 및 분석범위
2. 문화서비스 개념 및 분류체계
3. 문화서비스 측정방법론
4. 시사점

제5장 대기오염의 건강 피해비용 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1. 건강 피해비용 산정 방법론
2. 광역지자체 오염물질·오염원별 PM2.5 전환율
3. PM2.5 장기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4. 사망위험감소가치(VSL)
5. 광역지자체 오염물질·오염원별 PM2.5 조기사망의 단위 피해비용 산정 결과

제6장 화학물질(수은·납)의 건강 피해비용 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1. 개요 및 분석범위
2. 수은의 건강영향평가
3. 납의 건강영향평가
4. 수은·납의 건강 단위 피해비용 추정
5. 수은의 건강 피해비용 산정결과 및 시사점

제7장 화학물질의 생태계영향 정량화 방법론 검토
1. 개요
2. 선행연구 검토
3.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o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 고도화를 목표로 최근 발표된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계수 혹은 계수 산출 방법을 반영하여 계수를 갱신하고, 이를 적용하여 2007년 및 2019년 생태계 탄소흡수·저장량을 재평가하였음. 또한 국가 통계를 기반으로 생태계서비스 평가 결과를 검증하였고,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함
ㅇ2019년 기준 생태계의 탄소흡수량은 1,398만 톤/년, 탄소저장량은 10억 3,475만 톤으로, 2007년(1,384만 톤/년, 10억 2,538만 톤) 대비 탄소흡수량은 1.02%, 탄소저장량은 0.91% 증가함
ㅇ현재 EVIS에서는 국내뿐 아니라 국외 탄소배출권 가격의 가용한 모든 연도의 시장자료를 제공 중이며, 2022년 연구를 통해 국외 가격자료의 시·공간 보정 관련 산정 방법을 개선하여 자료를 제공함
ㅇ2019년 기준 생태계 평가를 위해 KAU19 자료를 2020년 실질가격으로 환산한 단위가치를 적용한 결과, 연간 탄소흡수 가치는 1,637,094 백만 원/년, 누적 탄소저장 가치는 121,137,439 백만 원/년으로 도출됨

Ⅱ. 생태계 물(담수)생산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o생태계 물(담수)생산 서비스 통합분석 툴킷 제작을 위해 토지피복도를 바탕으로 InVEST Annual Water Yield(약칭 ‘InVEST AWY’) 모델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생태계가 제공하는 물(담수)생산량을 평가함
ㅇ생태계의 물(담수) 생산량은 토지피복(식생)의 상태에 따른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자연적인 유출량을 모의하는 것임
ㅇ평가의 고도화를 위해 입력자료·계수를 보완하였으며 생태계 물생산 기능을 평가하고 검증을 완료함
ㅇInVEST 모형으로 재추정한 생태계 수량공급량은 2019년 기준 약 726억m3/년이며, 대권역별로 한강 249억m3/년, 낙동강 210억m3/년, 금강 128억m3/년, 영산·섬진강 139억m3/년으로 추정됨
ㅇ전국 물 수지 비율을 적용해 추정한 용도별 용수이용량은 농업용수 155.7억m3/년, 공업용수 23.6억m3/년, 생활용수 72.5억m3/년, 생태계 이용량 474.3억m3/년으로 나타남
ㅇ용수별 단위가치를 적용하여 산정한 생태계 수량공급 서비스의 총 가치는 약 16조 439억 원으로 추정됨

Ⅲ. 생태계 영양물질(질소·인) 저류 서비스 가치산정을 위한 통합분석
o영양물질(질소·인)이 오염물질 배출량으로서 작용하기 전에 하천 수계로 이동하는 과정 중 생태계에 저류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생태계서비스임.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수행한 생태계 수질정화 서비스 평가와 동일한 평가체계와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가용한 공간자료의 갱신, 문헌 고찰을 통한 입력자료 갱신 및 수정으로 내용을 고도화하여 2019년 당시의 생태계 영양물질 저류 서비스를 평가함
ㅇ화학비료 및 가축분뇨 등으로 인한 질소·인 공급 등 비점오염원의 증가는 토지이용(토양, 식생) 내 영양물질 부하량의 증가를 유발하고, 이는 지하수 수질오염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의 지표유출로 인한 하천 등 수생태계의 영향을 초래함
ㅇ전국의 2019년 당시의 생태계 영양물질(질소·인)에 대한 모의 결과를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