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사업보고서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지속가능성 평가 사업(Ⅸ)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제2장 2020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1.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2.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2020년 기준)
3.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추이(2015~2020년)

제3장 상하수도 서비스·인프라 관리 실태 설문조사
1. 설문 배경
2. 설문조사 개요
3. 설문조사 결과
4. 소결

제4장 지속가능성 평가 자료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 효율성 분석
1. 데이터 기반 상수도 효율성 분석
2. 지방상수도 사업의 효율성 비교·분석
3. 소결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산출식
Ⅱ.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설문지
Ⅲ. 상수도 효율성 사후분석 그룹별 결과

Executive Summary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o 연구 배경
ㅇ물 그리고 물과 관련된 생태계는 홍수·가뭄 조절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인간에게 제공하며 자연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게 함
-그러나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환경오염으로 인해 물과 생태계가 제공하는 이러한 서비스가 위협을 받고 있음
ㅇ연구진은 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연 및 인공 인프라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찾고자 2014년부터 본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특히, 상하수도를 중심으로 전국 시·군에 대해 물환경 서비스·인프라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조사하여 매년 보고서를 발간 중임

o 연구 목적
ㅇ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올해에도 ① 물환경 서비스·인프라에 관한 데이터 확보, ② 지자체별 물환경 서비스·인프라 관리의 지속가능성 평가, 그리고 ③ 물 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

Ⅱ. 2020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o 2020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ㅇ경제 부문에서는 전반적으로 특·광역시>시>군의 순서로, 지자체 규모가 클수록 지속가능성이 높게 산정됨
-군 그룹에서는 상하수도 부채비율이 높고 재정자립도가 낮으며, 중앙정부 지원액의 비율이 높아 지속가능성이 낮았음
ㅇ사회 부문에서 시설 보급률 등 사회적 공평성 지표는 지자체 규모가 클수록 지속가능성이 높았음
-반면,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 지표는 시설이 먼저 구축되어 노후화가 진행된 특·광역시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지속가능성이 낮았음
ㅇ환경 부문에서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은 시나 특·광역시 그룹보다 축산업이 발달한 군 그룹에서 현저하게 높았음

o 2015~2020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추이
ㅇ경제 부문의 지속가능성 지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며, 지자체 규모에 따른 지표의 격차가 지속됨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로 지방공기업의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상황이었지만, 상하수도 부채비율은 2020년에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ㅇ농어촌지역에 대한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가 계속되면서 지자체 규모에 따른 급수보급률, 하수관로 보급률 등 사회 부문의 시설 보급률 지표의 격차가 점진적으로 감소
-2020년의 소득 대비 상하수도 요금수준은 2019년에 비해 모든 지자체에서 0.01~0.1% 감소
o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소득이 감소한 가구를 지원하고 상하수도 요금 감면 조치를 시행한 결과로 판단됨
ㅇ환경 부문의 환경부하 관리 지표 중 T-P 배출부하량, BOD 공공하수처리율, 하천수질 지표는 대부분 연도별로 큰 변화가 없었음
-1인당 1일 물 사용량은 2019년과 2020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인당 1일 가정용수 사용량은 대부분 지자체에서 2020년에 증가
o 재택근무 확산, 사적 모임 최소화 등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됨

Ⅲ. 상하수도 서비스·인프라 관리 실태 설문조사
o 상하수도 자산관리
ㅇ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상하수도 시설물의 주기적인 점검, 관리 이력의 기록·관리, 노후시설의 정비·교체 등 자산관리와 관련된 활동을 수행 중
ㅇ시설물 관리 이력을 한글 문서 등 전자문서로 관리하거나 자산관리시스템을 시설물 정보 및 이력 관리 기능 위주로 활용하는 등 자산관리의 수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