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사업보고서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극한기후 리스크의 경제적 분석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목적 및 수행체계

제2장 미래 극한기후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 고도화
1. 미래 극한기후 시나리오
2.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

제3장 극한기후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별 경제적 리스크 분석
1. 건강
2. 에너지
3. 수자원
4. 농축산

제4장 극한기후에 따른 리스크의 경제적 영향 분석 도구 개발
1. 도구 개요
2. 부문별 분석 도구 구축
3. 분석 도구 사용 방법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2. 역량 강화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주요 리스크 중 극한기상이나 기후변화 정책 실패를 그 영향 정도와 발생 가능성 측면에서 최상위권으로 제시(WEF, 2022)
ㅇ기후변화는 식량 위기, 수자원 위기, 사회기반시설 파괴, 불평등 등 많은 부문별 리스크를 전이, 증폭시키는 주요 리스크로 분류

o폭염, 한파, 홍수, 가뭄 등의 극한기후 현상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영향의 경제적 정량화 필요
ㅇ가용 데이터와 방법론을 기반으로 미래 불확실한 기후 및 사회·경제에 대한 리스크 분석
ㅇ시나리오별 적응정책의 효과 분석 및 정책 결정 지원 도구 개발

2. 연구의 차별성
o건강, 에너지, 수자원, 농업 부문별 기후변화 리스크 정량화 및 적응정책 효과 분석
ㅇ기존 취약성이나 리스크의 상대적 분석에서 나아가 SSP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부문별 극한기후에 따른 리스크의 경제적 정량화
ㅇ 적응정책 효과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부문별 피해 정도 및 적응의 중요성 제시

3. 연구의 목적 및 수행체계
o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정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정책지원 도구 개발
ㅇ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적응정책 비용 효과 분석을 통한 적응역량 평가체계 구축

Ⅱ. 미래 극한기후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 고도화
1. 미래 극한기후 시나리오
o SSP 시나리오 기반 우리나라 상세화 3개의 GCM 선정
ㅇ CanESM5는 강수량의 평균, ACCESS-CM2는 기온의 평균을 가장 근접하게 모의
ㅇ GFDL-ESM4는 SSP585 기온의 최곳값을 근접하게 나타냄
ㅇ국립기상과학원·기상청에서 SSP 시나리오 체계에 맞게 새롭게 산출한 1km/100km 격자 기반의 대기(5ENSMN)/해양(ENSMN) 기후변화 모델을 추가하여 분석

o 개별 모델의 공간 상세화를 통해 행정구역별 극한기후지수 생산
ㅇ기후 시나리오는 1km 해상도의 격자를 바탕으로 250개 행정구역별 면적 가중치를 고려하여 행정구역별 면적 평균값 산출
ㅇ 시나리오 및 행정구역별로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의 일단위 자료 생산

2.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
o 2100년까지의 인구, 경제에 대해 SSP1, SSP2, SSP3 시나리오 구축
ㅇ SSP1은 지속가능 발전목표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는 친환경 성장 발전사회
ㅇ SSP2는 중도성장 경로로 현재의 완화·적응 노력을 유지하는 경우를 의미
ㅇ SSP3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노력이 어려운 기후변화 취약성장 사회를 의미

Ⅲ. 극한기후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별 경제적 리스크 분석
1. 건강
o 고온에 노출되는 야외근로자 근로역량의 저하에 따른 경제적 피해 발생
ㅇ미래 기상시나리오에 따라 WBGT 지수를 산정하여 시군구별 근로역량을 추정
ㅇ미래 야외근로자 종사자 수는 시군구별 건설업 및 농업 종사자 비율과 인구 시나리오를 통해 추정
ㅇ야외근로자는 평일 8시간 근무 및 2022년도의 최저임금을 가정하여 분석
ㅇSSP126 시나리오에서 정책을 시행할 경우 약 2021~2040년에는 4,000억 원에서 2081~2100년에는 약 5,000억 원으로 증가하고, 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동기간에 약 5,270억 원에서 6,520억 원으로 증가
ㅇSSP585에서는 첫 시점(2021~2040년)부터 정책시행 여부별로 4,970억 원, 6,520억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