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시연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및 정책과제 : 주방용 오물분쇄기 이슈를 중심으로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제2장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1. 음식물쓰레기 발생 및 처리 현황
2. 가정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제3장 주방용 오물분쇄기 이슈 분석
1. 국내외 도입 동향
2. 쟁점 분석 및 대안 검토
3. 주방용 오물분쇄기 사용에 따른 공공하수도 영향

제4장 개선 지점 및 정책과제
1. 주방용 오물분쇄기 관련 개선 지점
2. 중앙부처 및 지자체 역할 재정립
3. 과학적인 기준 제시를 위한 실증사업 실시
4. 유기성 폐기물 반입 증가에 대비한 하수처리시설의 역할 변화
5. 공공하수도 영향 관리체계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o 국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ㅇ 국내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 및 자원화 정책은 국가주도로 신속히 진행된 정책으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가능했으며 세계적으로도 선도적인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지금까지 시행해 온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정책이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수요를 고려한 자원화 정책과 시민의 수용성을 고려한 분리배출 정책 개발이 필요

o 주방용 오물분쇄기 이슈 대두
ㅇ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불편함 개선이 시민의 요구사항으로 대두됨에 따라 대선공약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2012년부터 제한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면서 주방용 오물분쇄기 판매량 증가
ㅇ 가정 내에서 불법 개조된 음식물 분쇄기를 이용함에 따라 수질오염 우려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2021년 5월에 분쇄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되었고, 이후 가정에서의 불법사용을 단속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하고 건물단위의 공동 고형물 회수시스템에 대해 허용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2021년 11월 발의됨
ㅇ 윤석열 정부도 대선 당시 신축 건물에 분쇄기(디스포저) 설치를 허용하는 자원순환 공약을 발표

o 주방용 오물분쇄기 사용 시 환경성 검토 필요
ㅇ 현재의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개별사용은 지역별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며 고형물 회수 인증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불법적 사용방식(분쇄고형물을 모두 하수도로 유출)으로 환경적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임
ㅇ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분리배출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검토하고 기술 적용과 관련된 검토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2. 연구 목적
ㅇ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을 분석하고 주방용 오물분쇄기 활용 시 자원화 연계를 위한 고려사항 및 공공하수도 영향과 대응방안을 도출함

Ⅱ.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1. 음식물쓰레기 발생 및 처리 현황
o 생활폐기물, 사업장 생활폐기물, 동식물성 잔재물 통합 발생량 추이
ㅇ 음식물쓰레기 전체 발생량은 2013년 이후 증가추세에 있다 2020년 감소함
- 코로나19 상황에 의한 외식감소 및 가정 내 시간 증가의 영향으로 추정됨
ㅇ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률은 2013년 98.7%까지 증가하였으나, 2018년에는 89.7%까지 하락하였고, 2020년에 90.6%까지 회복
- 종량제봉투에 혼합배출하거나 가정용 음식물처리기(감량기) 사용 영향으로 추정됨

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황
ㅇ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쓰레기 재활용률은 1995년 종량제 시행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직매립 금지 시점인 2005년 이후에는 95.7%까지 증가하다 최근에는 89% 수준으로 다소 하락
ㅇ 분리배출된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률은 97% 수준이며, 재활용 방식은 사료화 및 퇴비화가 주를 이루고 최근 바이오가스화 비중이 14%까지 증가
ㅇ 하지만 재활용 폐기물량에 비해 재활용제품 판매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가축질병 우려 및 퇴비수요 감소 등에 따라 자원화 방식의 다양화 및 질 향상 필요

2. 가정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현안
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방식의 변경(에너지화 추진)
ㅇ 환경부에서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에너지화하는 것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진행 예정
- 대량 수거방식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