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탁보고서 정책계획등의 전략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연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제2장 전략환경평가의 개념 정리
제1절 전략환경평가의 정의
1. 유사개념의 이해
2. 전략환경평가의 개념
3. 젼략환경평가의 정의
4. 전략환경평가의 원칙
5. 전략환경평가 대상의 이해
6. 전략환경평가의 효과
7. 전략환경평가 시행의 문제점
제2절 전략환경평가와 의사결정
1. 서론
2. 의사결정과정의 개념 및 이해
3. 의사결정시의 선택기준
4. 정책과 계획의 이해
5. 우리나라의 정책계획관련 의사결정체계의 분석
6. 해외의 정책계획 관련 의사결정체계의 분석(독일과 영국의 사례)
제3절 전략환경평가의 방법론
1. 전략환경평가의 수단
2. 전략환경평가의 절차적 방법
3. 계획과정의 내재화
4. 단계적 전략환경평가
제4절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비교
1.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공통점
2.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차이점

제3장 제도개선을 위한 논의
제1절 평가서 작성자의 관점
1. 사전예방적 환경정책
2. 환경영향평가 체계
3.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이해
4.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의 이해
5. 범용가능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체계
6.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의 구분필요
7. 협의권자 고권의 인정
8. 전략환경영향평가의 평가체계
9. 결론 및 정책제안
제2절 계획수립권자의 관점
1. 현황 및 문제점
2. 개선방안
제3절 환경평가전문가의 관점
1. 논지 요약
2. 정책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방법의 개선
3. 통합관리제도와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와의 연계방안 검토필요
4. 국토계획평가제도와의 연계성 강화 필요

첨부
□ 1차포럼 발표자료
□ 2차포럼 발표자료
□ 3차포럼 발표자료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2016년 『환경영향평가법』을 개정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정책계획을 부처 간 합의를 통해 5년 주기로 재평가하는 것이 합의함
● 그러나 전락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 2021년 전략환경영향평가 정책계획 대상 계획의 조정시 상기 논의사항은 다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많은 대상 정책계획의 계획주관부처인 국토교통부 및 산업자원부 등은 대상계획의 전략환경평가 제외 등을 위하여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제도에 대한 문제점 제기가 예상됨
2. 연구의 목적
●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는 2000년 사전환경성검토제도를 시작으로 많은 개정과 발전을 거쳐 06년 행정계획의 사전환경성검토체계로 개편되었음
● 이후 검토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83개 행정계획을 93개로 확대하는 등 발전하였으며
● 통합환경영향평가법 개정을 기초로 기존의 행정계획 사전환경성검토를 전략환경영향평가로 운영하게 되었음
● 그간 20년에 걸친 전략환경영향평제도의 운용에 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대상계획의 확대에 주안점을 두고 진행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제도의 본질적인 개념과 절차적 이슈는 다소 소극적으로 접근하여왔음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전략환경평가제도의 본질적 개념부터 접근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전략환경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포럼형식으로 진행하여 대안을 찾고자 함

제2절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는 포럼형식으로 진행하여 총 3회(자문회의 제외)의 포럼을 진행하고 이들 포럼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는 형식으로 진행함
● 포럼을 통해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본질에 접근함과 동시에 다양한 시각(대행업체, 계획수립유경험자)에서 인식하고 있는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의견 교환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도록 함
● 포럼에 앞서 전략환경평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기존의 개념 및 이론의 정리가 필요한바, 이에 대한 포럼위원 및 참여자간의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