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사업보고서 개발지 확장에 따른 생태적 영향에 대한 예측 모델링 체계 구축(Ⅱ)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개발지 확장과 생태적 영향 고찰
1. 개발지 확장과 도시성장관리
2. 생태환경영향 모델링

제3장 개발지 확장에 대한 구조화 및 알고리즘 개발
1. 개념적 프레임워크
2. 환경 모듈
3. 행위자 모듈
4. 상호작용 모듈

제4장 개발지 확장 모델링 시범 적용
1. 행위자 기반 모델
2. 개발지 확장 ABM 구조
3. 개발지 확장 ABM 시범 구동
4. 개발지 확장 ABM 고도화 방안

제5장 개발지 확장과 생태적 영향의 통합적 프레임워크
1. 생태적 영향 통합 프레임워크 기본체계
2. 생태영향 모델링 적용 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ㅇ 우리 주변의 환경 및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발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인간 활동에서 비롯하고, 개발지 확장은 생태계 서식지와 기능의 훼손 등에 영향을 주며, 이는 다시 감염성 질병 확산에 따른 인간 생활환경에 영향을 주는 등 개발지 확장과 생태적 영향, 감염성 질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

2.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는 개발지 확장의 영향요인과 생태적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는 한편, 행위자 기반 모델을 활용한 개발지 확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음
ㅇ 개발지 확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환경 모듈과 행위자 모듈, 상호작용 모듈에 대한 규칙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청주시를 대상으로 시범 모의를 하고자 함
ㅇ 개발지 확장 시뮬레이션 결과에 다양한 생태적 모델을 적용하여 해당 지역의 생태적 환경 변화를 비교·분석할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함

Ⅱ. 개발지 확장과 생태적 영향 고찰
1. 개발지 확장과 도시성장관리
ㅇ 비도시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의 효과적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도시성장관리는 기본적으로 도시지역의 확장을 주도하는 주변부의 토지이용 변화 및 그 특징의 파악이 중요함
ㅇ 이에 따라 토지 정책 및 계획의 방향 설정을 위하여 토지이용 변화를 시계적으로 다양하게 분석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됨
ㅇ 특히 도시지역은 인간과 자연적 상호작용이 있는 복잡한 계층적 시스템이기 때문에 도시의 토지이용 모델링이 중요하며, 복잡계 이론을 구현하는 모델로 CA 기반 모델링(Cellular Automatic based modeling)과 ABM(Agent-Based Modeling, 행위자 기반 모델링)이 주로 활용됨
ㅇ 본 연구에서는 ABM을 활용하여 개발지 확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시범적으로 적용하고자 함

2. 생태환경영향 모델링
ㅇ FRAGSTATS는 경관구조에 관한 많은 지표산출과 지표의 해석을 통해 경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경관조성(Landscape composition)과 경관배열(Landscape configuration) 두 가지 프로그램이 있음
ㅇ GUIDOS 모델은 경관생태학적 분석기법에 더 쉽고 명확한 형태의 시각화 기법이 요구되면서 2008년 이탈리아의 Vogt(2008)가 개발한 경관패턴 분석모델임
ㅇ InVEST 모델은 생태계를 정량화하고 변화와 가치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평가기법이며 24가지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가능하며, 중복 분석과 경제적 가치 평가를 할 수 있음

Ⅲ. 개발지 확장에 대한 구조화 및 알고리즘 개발
1. 개념적 프레임워크
ㅇ ABM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모델 구성의 기초로서 모델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와 함께 이들에 관한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체계를 설명하는 기본 틀을 제공하며, 환경 모듈과 행위자 모듈, 상호작용 모듈로 구성됨

2. 환경 모듈
o 공간정보
ㅇ 환경 모듈은 개발지 확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토지 공간정보를 의미함. 토지는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속성을 가지며, 그중에서 사업자가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속성을 토지개발 영향요인이라 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에서는 토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