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통합환경평가모델 구축을 위한 환경지표 개발

요 약

제1장 서론
1. 환경지표의 필요성
2. 환경지표의 개발
3. 3세부 연구의 목적

제2장 환경영향지수 구축 방안
1. 환경영향지수 개요
2. 환경영향지수 산출방법
3. 사례연구: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지수

제3장 환경질지수 구축 방안
1. 환경질지수의 개요
2. 환경질지수 산출방법
3. 사례연구: 토양환경 분야 환경질지수
4. 사례연구: 생활환경(인프라) 분야 환경질지수

제4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생활환경(인프라) 분야 환경질지수 지표자료
Ⅱ. 생활환경(인프라) 분야 환경질지수 산정결과(8대 분야별)

Executive Summary
Ⅰ. 환경지표의 개발
o본 연구는 국토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환경지표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면서 두 가지 지수인 환경영향지수(EII) 및 환경질지수(EQI)의 개념을 설정하고 사례연구를 제안함
ㅇ환경영향지수(Environmental Impact Index): 환경영향평가서의 누적된 정보를 토대로 전국 규모에서 주요 개발사업의 누적된 환경영향을 정량화한 값
ㅇ환경질지수(Environmental Quality Index): 국가 측정망 및 공공기반 정보를 토대로 매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전국 단위로 환경질현황을 단일 변수로 정량화한 값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지수와 토양환경 및 생활환경 분야의 환경질지수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사례연구를 수행함. 연구 성과는 지역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할 예정임

Ⅱ. 환경영향지수의 개발
o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의 현황은 시공간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단위사업을 종합하면 국토개발의 누적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평가서 정보(환경현황 및 환경영향)를 취합하여 부문별 개발사업의 누적 환경영향을 지시하는 환경영향지수(EII)를 제안함
o사례연구로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노출 인구현황(가중치) 대비 배출량에 따른 대기오염물질(PM10) 기여 농도(환경영향)로 정의하여 전국 규모에서 도출함
ㅇ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지수 산출을 위해 10년(2011~2021년) 동안 협의가 이루어진 270건의 사업별 배출량을 토대로 모델링을 수행하고 대기오염물질(PM10) 기여 농도를 산출함(1세부 과제와 연계)
ㅇ기여 농도에 노출된 인구분포를 가중치로 부여하기 위해 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1km 격자의 인구지도를 작성하고 해당 격자에 대기오염물질 기여 농도를 부여함으로써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지수를 정량화함

o산업단지 개발사업은 경제 요인에 따라 결정되므로 수도권 등 인구밀집 지역에 영향을 유발하고 있음. 따라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누적된 환경영향 개발계획에 함께 반영하고 완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이 요구됨(환경영향평가의 누적 정보가 환경정책에 유용한 환경지표들을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

Ⅲ. 환경질지수의 개발
o환경질의 저하에 따른 인간 및 생태계 건강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매체별 환경질 현황을 평가해야 하므로 환경질의 공간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매체별 환경질지수를 제안함

o금회 사례연구에서는 토양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중금속 농도 오염분포를 지시할 수 있는 토양환경 분야 환경질지수를 산출함. 환경질지수는 토양오염 축적지수를 활용하였고 배경농도 산출 및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기계학습을 수행함
ㅇ전국 토양측정망 분석결과에 대해 분류분석을 실시하여 6개 중금속 항목(Cu, As, Pb, Zn, Ni, Cd)의 배경농도 및 인간영향을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토양오염 축적지수를 산정함. 토지피복도 및 지질도를 토대로 기계학습(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토양오염 축적지수를 예측하고 전국 규모의 환경질지수 공간정보를 구축

o생활환경을 환경오염도 이외의 환경보전, 토지이용, 산업경제, 문화o경관, 교통, 주택 등 일상생활 및 인프라와 관계되는 환경으로 정의함. ‘도시의 지속가능성 및 생활 인프라 평가지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