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탁보고서 미래예견적 국정관리지원 : Data Science로 전환을 위한 기후환경부문 모델링 연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개요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

제2장 기후변화 데이터 수요 및 활용 항목 결정
제1절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기후변화 피해 정량화
제2절 공간정보를 활용한 침수 관련 산업계 피해 분석
제3절 기후변화 Big Data 서비스 요구사항 검토

제3장 극단적 기후사상에 의한 피해 현황 데이터 분석
제1절 환경 분야 피해 분석 데이터
제2절 산업계 피해 분석 데이터
제3절 현황 데이터 Big Data 전환

제4장 기후변화 시나리오 Big Data 분석
제1절 침수피해 발생 임계치 Big Data 분석
제2절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홍수 피해 예측

제5장 자연재해 Data Mining 적용 사례 분석
제1절 Data Mining 방법론 정립
제2절 침수 및 산사태 사례 분석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연구요약
제2절 고찰 및 정책제언

o참고문헌
1. 국내문헌
2. 국외문헌
3. 온라인자료

o부록
2019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는 53년만의 대홍수로 인해 도시의 80%가 물에 잠겼으며, 호주에서는 이상고온현상과 가뭄으로 인해 국가적 재앙 수준의 산불이 발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폭염, 한파, 홍수, 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계부처합동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는 수재해에 집중되고 있으며, 유엔경제사회국(DESA)는 향후 전 세계 많은 도시가 홍수, 가뭄 등 물과 관련된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이상기후를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4차 산업기술인 정보통신기술(ICT)과 데이터마이닝 및 기계학습 등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기후 중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인한 침수 피해를 중심으로 피해 발생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조사하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국내 침수 피해 예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분석 및 예측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침수 및 산사태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침수 피해 동향 파악 및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데이터 항목 결정을 위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환경 뉴스 중 침수 피해와 관련된 연도별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수집된 침수 피해 뉴스의 비중이 가장 컸던 2010년∼2011년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침수흔적도를 활용하여 산업계 피해를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래 침수 피해를 예방하고자 한다.
분석 수행에 앞서 침수 피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메타DB를 구축·활용하여 강우량 분석 및 침수 피해 발생 임계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토지피복지도, 수치표고모델, 산업단지 위치정보 등 공간정보데이터와 기상자료 및 침수흔적도 등 피해데이터를 결합하여 3일 누적 강우량도를 작성하였으며, 3일 누적 강우량 587.6mm에 의한 2020년~2090년대 침수 피해 발생 시기를 예측하였다. 예측데이터를 토대로 기후변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침수 발생 임계치 강우량 587.6mm의 발생 시기 및 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2021년∼2100년까지 침수 피해가 예상되는 일수는 총 337일로 피해가 가장 적었던 시기는 2040년대였으며, 가장 많은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시기는 2080년대로 예상되었다.
기후변화 심화로 인해 이상기후는 과거의 발생양상과 달리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예측의 한계와 신뢰도 및 정확도의 하락을 가져온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등의 활용성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예측 향상을 위하여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데이터마이닝 방법론 적용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시범지역의 지형, 지질, 토양, 토지피복 등 기본 지도 정보를 수집 후 분석을 통하여 침수 및 산사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계산하였으며, 베이지안 이론, 의사결정나무, 앙상블 모형 등 딥러닝에 기초한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공간 예측을 수행하였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서울특별시의 침수 및 산사태 취약성도 검증결과 두 가지 경우에서 모두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