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시연구 지속가능성 정책 지원을 위한 환경용량 평가 체계 및 활용 연구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환경용량 개념에 관한 고찰
1. 자원순환의 거시적 관점
2. 실물 중심의 접근
3. 환경용량의 개념과 과제

제3장 에머지를 이용한 환경용량 평가
1. 환경용량 측면의 에머지 방법론 개요
2. 에머지를 이용한 국가, 지역, 개인, 재화 단위 환경용량 평가 방법
3. 에머지를 이용한 환경용량 시범 평가
4. 에머지를 이용한 환경용량 평가의 한계와 향후 과제

제4장 생태발자국을 이용한 환경용량 평가
1. 환경용량 측면의 생태발자국 방법론 개요
2. 생태발자국을 이용한 국가, 지역, 개인, 재화 단위 환경용량 평가 방법
3. 생태발자국을 이용한 환경용량 시범 평가
4. 생태발자국을 이용한 환경용량 평가의 한계와 향후 과제
제5장 환경용량 평가 체계 및 활용 방안
1. 환경용량 평가 체계
2. 환경용량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제6장 향후 과제 및 결론
1.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2. 결론
3.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에머지 평가를 위한 항목별 산정 및 자료
Ⅱ. 생태발자국 평가에 사용한 자료
Ⅲ. 개인 생태발자국 진단 퀴즈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o 인구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환경의 지속가능성 우려
ㅇ UN은 2050년 전 세계 인구가 90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
ㅇ 물, 에너지, 식량 측면에서 2030년 극심한 물 부족인구가 총 39억 명에 달하고(OECD), 2040년까지 세계 에너지 수요가 2018년 대비 25% 이상 증가하며(IEA), 2030년에도 약 6억 5,300만 명이 영양결핍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FAO)

o 환경용량의 한계를 감안하지 않은 개발이나 경제활동의 부정적 영향 증가
ㅇ 지구, 국가, 지역 단위 물질과 에너지의 원활한 순환은 경제발전, 사회적 형평성 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
ㅇ 실물경제 흐름을 간과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비롯하여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사회불안, 무분별한 개발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 등이 사회, 경제, 환경을 위협
ㅇ 교역에 크게 의존하는 세계 경제에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고 있어, 국가나 지역 환경의 능력 한계 내에서 사회를 운영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o 지속가능성 정책을 위한 환경용량 개념의 활용과 평가 체계 개선 필요
ㅇ o환경정책기본법o에서 환경용량을 규정하고 있지만 실질적 적용 부재
ㅇ 여러 평가 방법론이 갖는 철학이나 정책적 시사점을 두루 활용할 필요
ㅇ 대상의 규모에 따라 평가 결과가 주는 시사점과 활용 가치가 상이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o 연구 목적
ㅇ 환경용량 개념을 고찰하고 다양한 대상 규모와 접근 방식을 고려한 환경용량 시범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지속가능성 평가의 한 도구로서 환경용량 평가 체계를 분석하고, 평가 결과의 정책 활용방안과 향후 과제 제시

o 연구 내용
ㅇ 문헌 연구를 통한 환경용량 개념 고찰(제2장)
ㅇ 에머지와 생태발자국을 이용한 환경용량 시범 평가(제3장, 제4장)
ㅇ 다양한 규모에서의 평가 체계와 정책 활용방안 및 향후 과제(제5장, 제6장)

Ⅱ. 환경용량 개념의 고찰
1. 자원순환의 거시적 관점
o 인구, 생활수준, 환경자원의 관계
ㅇ 사회경제시스템은 한정된 환경자원의 순환 능력 내에서 유지
ㅇ 한정된 재생자원을 기반으로 할 때 인구가 증가할수록 개인의 생활수준은 낮아지지만 비재생자원을 활용한 기술 혁신으로 인구 증가와 생활수준 유지
ㅇ 국가나 지역 단위로 인구가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외부 자원의 유입이 늘어나고 그에 따른 환경 부작용 증가

o 인구 및 경제발전 모델
ㅇ 인구 증가와 관련된 로지스틱 성장 모델은 환경 수용력의 한계로 인구가 결국 정상상태에 도달하게 된다는 이론 내포
ㅇ 재생자원과 비재생자원 활용에 관한 경제발전 모델에서는 단기적으로는 비재생자원에 의해 급격한 성장이 지속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비재생자원이 줄어들어 재생자원에 의존함으로써 자산량이 감소하고 개인이 누릴 수 있는 생활수준이 낮아짐을 시사

2. 실물 중심의 접근
o 화폐와 실제 부
ㅇ 실물경제는 자원 공급과 생산의 한계 내에서 발생하므로 금융자원의 규모 확대로 실물경제를 활성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ㅇ 1970년 이후 추이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실물흐름과 화폐흐름의 비율을 나타낸 Emergy/GW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