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사업보고서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사업에 따른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1.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현황 및 낙동강 하류·하구 현황
2. 낙동강 하류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3. 낙동강 하구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제3장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1.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제4장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 평가 및 변화
1. InVEST를 활용한 생물 서식지 질 평가
2. 시대별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 평가
3.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생물 서식지 변화 예측

제5장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조류 서식지 질 평가 및 변화
1. 시대별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조류 서식지 질 평가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의 조류 서식지 변화 예측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은 1980년대 이전에는 절대농업지역으로 개발이 제한된 지역이었으나 1980년대 이후 부산광역시의 개발계획에 따라 빠르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공간이다. 또한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은 이동성 조류인 철새의 중간 기착지로, 우리나라 중요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이다. 특히 이 곳은 정부에서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 중 수역과 그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재보호구역, 습지보호구역, 특별관리해역 등의 법정 보호지역으로 지정·관리해 오고 있는 공간으로, 지속적인 보호와 보전이 필요한 공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공간의 토지이용 변화를 알아보고, 생물 서식지와 특히 조류 서식지의 질적 변화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개발에 따른 생물 서식공간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변화가 예상되는 미래의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 토지이용을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 특히 조류 서식지의 질적 변화 또한 예측하였다.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별로 확인된 조류종 수를 확인해 본 결과 낙동강 하구지역에서 170종에 가까운 가장 많은 조류종이 확인되었으며, 낙동강 하류지역 역시 150종에 가까운 조류종이 해당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어 200개의 조사지역 중 가장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cenario Generator에 따라 예측된 미래의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 대분류 토지이용 형태의 경우 시가화 건조지역이 32.1%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1980년 후반의 대분류 토지피복도에서 나타난 시가화 건조지역이 전체 면적 대비 9.7%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여 330% 증가한 것이다. 이는 생물 서식환경 측면에서 특히 조류의 서식 및 취식 공간 중 농업지역의 면적이 대폭 축소된 것으로, 향후 이 지역에서의 조류 서식환경의 질 저하가 나타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에 대한 생물 서식지 질 평가 모델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 지역의 생물 서식지 그룹 중 1, 2, 3그룹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에 4그룹과 5그룹은 매우 큰 변화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4그룹과 5그룹으로 대표되는 농업지역의 시가화 건조지역으로의 전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산림지역과 수역 등이 대표적인 토지이용 형태를 나타나고 있는 1, 2그룹의 경우 자연지형적 그리고 행정적 측면에서 제한 요인이 커 일정 면적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류·하구 지역에 대한 조류 서식지 질 평가를 위해 사용된 InVEST 모델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 지역의 생물 서식지 그룹 중 1그룹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반면에 2그룹과 3그룹의 변화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류의 휴식 및 취·서식 공간으로 추정되는 2그룹 공간의 경우 현재 약 25% 전후로 남아 있으며 앞으로 20% 수준까지 축소될 것으로 예측되어 공간적 측면에서 보전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2그룹 공간의 경우 도로망 발달로 인해 조류활동 공간이 심하게 파편화되어 있으며 이런 파편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어 서식지 질 측면에서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저자발간물